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사 1452년 고려사절요 1452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2 09:20
본문
Download : 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사 1452년 고려사절요 1452년).hwp
이에 반해 절요는 전체 35권으로 된 편년체(편년체) 사서이며, 수교고려사를 개찬한 것으로 추정된다된다.
한편 이와같은 이유로 고려사가 절요보다 먼저 인출되었지만, 김종서 등에 의해 고려사보다 편찬시기가 늦은 절요가 먼저 배포되고, 단종대 계유정난(계유정난)으로 김종서등이 제거된 다음해야 고려사가 널리 배포되었다.고려사고려사절요에 , 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사 1452년 고려사절요 1452년)인문사회레포트 ,
고려사고려사절요에
레포트/인문사회
일. 편찬과정과 그 배경
이. 편찬자들
삼. 체재, 내용 및 歷史인식
사. 사학사적 의의
이. 편찬자들
고려사와 절요의 편찬자는 두 사서의 성격과 달리 다수가 중복된다된다. 또한 歷史적 사실에 대한 평론인 논찬의 경우 고려사는 역대 왕기의 끝에 찬…(drop)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사 1452년 고려사절요 1452년)
Download : 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사 1452년 고려사절요 1452년).hwp( 55 )
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편찬과정과 사학사적 의의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고려사의 세가와 절요는 편년적인 요약를 해놓은 유사한 면( 신왕의 즉위년 다음해를 원년으로 하는 유년칭원법 )도 있지만 서로 다른 서술원칙과 연시의 기록면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삼. 체재, 내용 및 歷史인식
고려사는 세가(세가) 46권, 열전(렬전) 50권, 지(지) 39권, 연표(연표) 2권, 목록(목록) 2권의 모두 139권으로 구성된 기전체(기전체) 사서이며 열전, 지 등은 中國의 기전체 정사 중에서 원사(원사)를 가장 많이 참고하였으며, 표(표)는 삼국사기(삼국사기)를 따름으로서 군주 중심의 연표가 되어, 군주 및 종사의 안위와 관련된 사건을 요약하였다. 하지만 이와 별도로 고려사와 절요의 편찬에 있어서 실질적 influence(영향)력을 가진 인물은 차이를 보이는데, 고려사의 경우는 세종의 존왕실(존왕실)적 편사의 방향과 歷史편찬주의, 직서주의, 기록보관주의 등의 기초적인 중요편찬원칙이 반영되어 정인지, 이선제, 신석조 등이 주된인물들이 었으며, 세종사후 착수된 절요는 김종서, 박팽년, 유성원과 같은 신료(신료)들의 influence(영향)력이 컸다. 여기에서 신료들의 influence(영향)력이 큰 까닭은 그당시 김종서를 비롯한 신료들이 정치적 실권을 잡과 있었던 상태였으며, 정치사를 개국공신 쪽에 비중을 두고 서술하였으며 재상 중심의 정치를 옹호하는 모습을 보였다.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편찬과정과 사학사적 의의에 대해서 설명(explanation)했습니다. 이는 두 사서의 편찬시기가 2년 반 정도의 단기간에 이루어졌다는 사실과, 두 사서의 편찬이 춘추관(춘추관)이라는 기구를 통해서 편찬되었던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