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주제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8 00:24본문
Download : 자유 주제 보고서.hwp
식에서 알 수 있듯이 극한등급은 망원경의 구경에만 관계하며 망원경 초점거리와는 관계가 없다.
구경(mm)
50
60
80
100
150
200
250
300
400
500
극한등급
51
73
130
204
460
820
1300
1840
3265
5102
⑧ 시야(Field)
실제시야 = θ / 배율 (θ:접안렌즈의 시야 = 접안렌즈 겉보기 시야)
망원경으로서 한 번에 볼 수 있는 하늘의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각도로 나타낸다. 그리고 대기 상태와 지구대기의 투명도(Transparency)에 따라 변한다 단 한 가지 알아 두어야 할 것은 만약 8inch 반사 망원경에서 극한등급이 13.3등급이다. 그리고 같은 구경의 망원경이라 하더라도 초점거리 길이의 차이에 따라 이러한 은하나 성운 같은 천체가 보이는 차이가 발생한다. 하지만 13등성의 은하나 성운을 관측할 수 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이것은 마우언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서 특히 관측 대상이 은하나 성운과 같이 희미하면서도 비교적 넓은 영역에 퍼져 있는(시직경이 큰)대상의 경우에는 시야가 넓은 망원경일수록 하늘과 대비가 잘 되므로 쉽게 볼 수 있는 것이다.
망원경의 초점거리가 짧아지면 겉보기 시야가 같은 접안렌즈를 사용한다해도 초점거리가 긴 것보다 더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다
3. 망원경에 관계된…(생략(省略))
⑦극한등급(Faintest Star)
자유 주제 보고서
극한등급 = 1.77 + 5·log D(mm)
다. 왜냐하면 은하나 성운 같은 비교적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대상은 전체 표면 등급의 총합이 13등급이라는 의미이다. 망원경의 실제 시야는 접안렌즈(eyepiece)의 겉보기 시야와 망원경의 초점거리에 관계된다된다.






⑦극한등급(Faintest Star)극한등급 = 1.77 + 5·log D(mm) = 9.2 + 5·log D(inch)... , 자유 주제 보고서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 9.2 + 5·log D(inch)...
설명
순서
Download : 자유 주제 보고서.hwp( 13 )
⑦극한등급(Faintest Star)
극한등급 = 1.77 + 5·log D(mm)
= 9.2 + 5·log D(inch) D:렌즈(or 반사경)의 직경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의 밝기가 6등성이라고 할 때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어두운 별의 등급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