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천수대비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14:00본문
Download : 도천수대비가.hwp
이 노래가 「도천수대비가」이다.신라시대의 `도천수대비가`라는 향가를 자세하게 analysis(분석) 한 내용의 글입니다. 어느 날 어머니가 이 아이를 안고 분황사(분황사) 좌전(좌전) 북쪽 벽에 그려진 천수대비(천수대비) 앞에 나아가 아이로 하여금 노래를 지어 빌게 했더니, 마침내 멀었던 눈이 드디어 떠졌다. 보통…(省略)
순서
도천수대비가
레포트/경영경제






신라시대의 `도천수대비가`라는 향가를 자세하게 분석한 내용의 글입니다. “죽마(죽마)아 총생(총생) 으로 맥진(맥진)에서 놀던 애기/하루아침에 두눈을 잃어버렸네/대사(대사)의 자비로운 눈으로 돌보지 않았던들/사춘(사춘)이나 버들꽃 못 보고 지냈을까”
◦총생(총생) : 파로 만든 호드기
◦맥진(맥진) : 시장 바닥
◦사춘(사춘) : 춘사(춘사). 입춘(입춘) 후 다섯 번째의 무일(무일)을 이르는 말.
◦분황사(분황사) 천수대비(천수대비) 맹아득안(맹아득안) : 분황사의 천수관음(천수관음)이 눈먼 아이의 눈을 뜨게 했다는 뜻. 원문의 천수대비는 관세음보살의 한 모습. 관세음보살이 과거세(과거세)에 있어서 1천 손과 1천 눈을 가지고 중생을 제도(제도)하였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찬사는 다음과 같다.도천수대비가 , 도천수대비가경영경제레포트 ,
다.
▷ 주제 : 관음의 자비함과 사뇌가의 신비로움을 노래.
▷ 출전 : 삼국유사
4. 관련설화
경덕왕 때에 한기리(한기리)에 사는 희명(희명)이라는 여인의 아이가 태어나 다섯 살 되던 해에 갑자기 눈이 멀었다.
도천수대비가
설명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도천수대비가.hwp( 62 )
3. 일반적인 도천수대비가 分析
이 노래는 일반적으로 3장으로 나누고 있따 초장에서는 천수관음 앞에 공손히 기원하는 태도를 표현하였고, 중장에서는 눈 없는 나에게 눈을 줍소사 하는 발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따 마지막 장에는 관음의 자비로 눈을 뜨게 된다면 구하여 준 은혜를 잊지 않고 오래 간직하겠다는 간곡한 소망이 담겨 있따
▷ 형식 : 10구체 향가
▷ 연대 : 신라 경덕왕(742~765)
▷ 작자 : 희명
▷ 의의 : 희명이 자신의 눈먼 아이가 눈 뜨기를 비는 노래
▷ 성격 : 기원가
▷ 내용 : 한기리에 사는 희명이 아이의 눈을 뜨게 해 달라고 부처님 앞에서 빌며 이 노래를 불렀더니, 아이가 눈을 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