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i.co.kr [인문학] 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6 > omi8 | omi.co.kr report

[인문학] 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6 > omi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mi8

[인문학] 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6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6:19

본문




Download : [인문학] 지자총통에 대하여.hwp




이 총통의 발사물은 장군전(將軍 )과 수철연의환(水鐵鉛衣丸)으로, 철환은 납을 입힌 무쇠로 만들었다. 부리는 발사물인 철환이나 화살을 넣은 곳으로 격목통 앞부분에 위치하는데, 죽절(竹節)이라 불리는 마디가 등 간격으로 6∼8개정도 둘러져 있따 이 죽절은 우리 나라 총통만의 특징으로 사격 과정에서 부리의 온도를 냉각시키고 부리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만들어졌다. 지자총통의 문헌기록은 ≪신기비결(神器秘訣)≫과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에 잘 남아 있어 그 일반적인 성격을 알 수 있따 발사물인 기본적인 형태는 약통(藥筒)ㆍ격목통(激木筒)ㆍ부리〔嘴〕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따 약통은 글자 그대로 화약을 채우는 부분으로 불심지를 넣은 약선혈(藥線穴)이 뚫려져있따 격목통은 약통 속의 화약 폭발 때 발사물에 작용하는 폭발력을 크게 하는 격목(激木)이나 토격(土激)을 장치하는 부분으로 약통과 부리 사이에 위치한다. 조선시대 총통의 이름은 그 크기 순서에 따라서 천자문(千字文)의 순서에 따라서 천(天)ㆍ지(地)ㆍ현(玄)ㆍ황(黃) 등의 이름을 붙였다. 지자총통은 최무선(崔茂宣)이 고려말에 대형 총통을 만들 때에도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전기의 총통에 관한 기록인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병기도설(兵器圖說)의 일총통(一銃筒)이 지자총통이 전신(前身)이다.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62호 ▒ 지정연월일 1986...


설명


순서

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62호 ▒ 지정연월일 1986...


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62호 ▒ 지정연월일 1986년 3월 14일 ▒ 시 대 조선 명종 12년(1557) ▒ 규모ㆍ양식 길이 89.5cm, 부리안지름 10.5cm, 부리 바깥지름 15㎝, 무게 73kg ▒ 재 료 청동 ▒ 소 유 자 국유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번지 국립중앙박물관 지자총통이란 조선시대 대형 총통 중에서 두 번째로 큰 총통이다.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에 의하면 철환은 토격을 이용하여 200개를 발사하였으며, 장군전은 격목을 이용하여 발사하였는데, 그 사...

[인문학] 지자총통에 대하여-1276_01.gif [인문학] 지자총통에 대하여-1276_02_.gif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인문학] 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6

Download : [인문학] 지자총통에 대하여.hwp( 80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학 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자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6





다.
전체 38,39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