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이해] 경주 文化(문화) 답사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0:24
본문
Download : 한국사이해[레포트-자료].hwp
묘의 앞에는 조선 시대에 세웠던 비석이 있으며 석상은 최근 묘를 수리할 때 세운 것이다.
◈석빙고◈
◈분황사◈
사진도 직접 찍은 것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진도 직접 찍은 것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봄이면 길가에 개나리 벚꽃이 활짝 피어 드라이브 코스로도 인기가 높다. 좋은 자료 이용 바랍니다.
순서
◈김유신장군묘◈
「삼국유사」에 `김유신이 죽은 뒤 흥무대왕으로 봉하였으며, 그 능은 서산(西山) 모지사(毛只寺)를 동향한 산봉에 있다`고 하고, 또 「삼국사기」에 `문무왕이 그 의 부음을 듣고 채백(彩帛)1천 필과 조(租) 2천 석을 보내고, 군악고취(軍樂鼓吹) 100인을 보내 금산원에 예장하고, 유사(有司)로 하여금 비를 세워 기공(紀功)을 기명하고, 민호(民戶)를 배정하여 묘를 수호하게 하였다`고 기록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한국사이해[레포트-자료]-744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1/%ED%95%9C%EA%B5%AD%EC%82%AC%EC%9D%B4%ED%95%B4%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7447_01.gif)
![한국사이해[레포트-자료]-744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1/%ED%95%9C%EA%B5%AD%EC%82%AC%EC%9D%B4%ED%95%B4%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7447_02_.gif)
![한국사이해[레포트-자료]-744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1/%ED%95%9C%EA%B5%AD%EC%82%AC%EC%9D%B4%ED%95%B4%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7447_03_.gif)
![한국사이해[레포트-자료]-7447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1/%ED%95%9C%EA%B5%AD%EC%82%AC%EC%9D%B4%ED%95%B4%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7447_04_.gif)
![한국사이해[레포트-자료]-7447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1/%ED%95%9C%EA%B5%AD%EC%82%AC%EC%9D%B4%ED%95%B4%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7447_05_.gif)
다. 호석과 돌난간 사이에는 바닥에 돌을 깔았다. 호석은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등 십이지신상이다. 묏자리는 송화산 줄기가 동쪽으로 뻗어 展望이 좋은 울창한 소나무 숲 속이며, 어느 왕릉에 견주어도 뒤떨어지지 않는 화려한 모습을 하고 있다 지름만 30m에 달하는 큰 원형분인데 둘레에는 호석과 돌난간을 둘렀다.[한국사이해] 경주 文化(문화) 답사기
좋은 자료(資料) 이용 바랍니다.
◈안압지(임해전지)◈
설명
Download : 한국사이해[레포트-자료].hwp( 62 )
고 있으니, 죽은 뒤 그의 죽음을 애도한 문무왕이 호화로운 능을 마련해주지 않았나 싶다. 무장을 하지 않아 그런지 매우 온화해 보인다. 한편 호석의 12지신상과는 별도로 높이 약 30cm의 납석에 정교하게 새겨 묘의 주변에 땅을 파고 묻어 두었던 12지신상이 출토되기도 하였다. 몸체는 정면을 보고 서 있으나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려 주시하는 머리 모습이 이색적이다. 호석의 밖으로는 여러 개의 돌기둥을 세워 난간을 돌렸다. ◈김유신장군묘◈ ◈천마총◈ ◈미추왕릉◈ ◈첨성대◈ ◈석빙고◈ ◈안압지(임해전지)◈ ◈분황사◈
◈천마총◈
◈미추왕릉◈
경주 문화 답사기
◈김유신장군묘◈
호석 중간중간에는 평복 차림에 무기를 든 12지신상을 배치하였다. 사적 제2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묘 아래쪽에 묘를 지키는 금산재(金山齋)가 있다
◈첨성대◈
고속버스터미널 옆 서천교를 넘어 오른쪽으로 김유신 묘 가는 길이 나 있다 이 길은 김유신 묘를 위해 특별히 낸 흥무로이다. 대개의 경우 능을 지키는 수호신으로는 갑옷을 입은 조각들이 새겨지는데 김유신 묘의 십이지신상은 평복을 입고 무기를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