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로의 생애와 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6 16:09
본문
Download : 최승로의 생애와 사상.hwp
여기서 우리는 최승로가 불교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따 그리고 8조모두가 불교에 대해 비판적이라는데 공통성이 있따
그러나 최승로의 불교비판은 종교로서의 불교교리 자체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불교에서 파생되는 폐단에 대한 비판이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따 이점에서 고려말기의 배불론자들과는 근본적인 차이를 보인다고 하겠다. 격동하는 전환기의 인물은 과거의 가치관을 완전하게 배제하지 못하면서 동시에 미래지향적인 양면성을 지니고 있듯이 최승로도 그러하였다.
그리고 둘째는 불교로 인한 사회적 폐단에 대한 비판이었다. 여기서 그의 불교에 대한 입장이 어떠했는 가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최승로의 불교폐단에 대한 비판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가 있따
첫째는 전래의 불교의식을 그대로 행하고 있었던 성종에 대한 간언이다. 여기서 그의 불교에 대한 입장이 어떠했는 가를 ... , 최승로의 생애와 사상인문사회레포트 ,
다.
최승로는 그의 시무 21조에서 불교와 유교를 기능에 따라 구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따 즉 불교를 정치문제에서 분리시키고, 정치이념으로서는 유교를 토대로 할 것을 주장했던 것이다.
한편 최승로는 그의 사상적 기조에서 신라적인 가치관을 완전하게 청산하지는 못하였다.
시무28조 가운데 8조가 불교에 관계되는 것이다.
최승로도 다른 신라 육두품 출신과 마찬가지로 신라의 폐쇄적인 골품제도와 불교의 타락등 신라사회를 몰락하게 만든 사회적 폐단에 대하여…(생략(省略))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상서문에 나타난 그의 사상적특징은 유교적 이상의 실현을 추구하며, 불교를 비판하고 있는 점이다.
그러나 상술했듯이 최승로는 불교의 폐단에 대하여는 신랄한 비판을 가하면서도 종교로서의 불교는 이를 충분히 인정하고 이해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설명




상서문에 나타난 그의 사상적특징은 유교적 이상의 실현을 추구하며, 불교를 비판하고 있는 점이다. 이것은 최승로가 자기의 유교적 정치이념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성종의 관심을 불교적인 것에서 유교적인 데로 돌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는 그의 상서문속에서도 나타나 있는데 태조대에 `석교를 존중하고 유술을 중히 여겨 위군의 영덕이 이에 갖추어 졌으며`하는데서 불교를 긍정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된다. 여기서 그의 불교에 대한 입장이 어떠했는 가를 ...
최승로의 생애와 사상
Download : 최승로의 생애와 사상.hwp( 23 )
,인문사회,레포트
상서문에 나타난 그의 사상적특징은 유교적 이상의 실현을 추구하며, 불교를 비판하고 있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