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Japan기에 나타난 한국고대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8 02:45본문
Download : 속일본기에 나타난 한국고대사상.hwp
이 사절은 종래와는 달리 공조사이며, 모두 700여명에 달하는 대규모 사절단이었으나, 그 중에서 김태렴 등 370여명이 입경하였다. ꡔ속기ꡕ동4년 6월 14일 조에 의하면 김태렴 일행은 조물을 공진하며, 「신라국은 먼 옛날부터 대대로 (日本 )국가에 조공을 받쳐왔다」고 하는 말은 신라의 마지막 사절인 보귀 10(779)년의 김난손의 래일 때에도 보인다.
이와같이 730년대에서 740년대에 걸쳐 양국의 외교분쟁이 계속되고 있던 중, 752년(천평승보 4)에 신라왕자인 김태렴 , 공조사인 대사 김훤 및 송왕자사인 김필언 등이 래일하였다.
이 두사료를 검토한 산미는, 첫째 신라사절의 주는 국서를 등사한 것이 아니고 사자의 구주라는 점, 둘째 사자의 구주와 그 장소에서 천황이 내린 조와는 내용이 너무나 일치하고 있다는 점 등을 들어 「사전에 주상의 내용을 모르고 의식이 처음 되어 의식을 중단하여 거기에 대응하는 조가 만들어졌다는 것은 사실이 아닌것이다 」고 하면서, 「이러한 주상을 신라왕이 자발적으로 스스로 그 지위를 표명하였다고 객관시하는 것은 사료비판이 부족해 있다」…(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속Japan기에 나타난 한국고대사상
Download : 속일본기에 나타난 한국고대사상.hwp( 96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다. 따라서 신일 양국의 외교분쟁은 동아시아 시점에서 주시해 볼 necessity 이 있을 것이다.위와 같이 730년대부터 신라사가 추방을 당하는 등 양국간에 외교적인 마찰이 생긴 요인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Japan학계의 일반적인 견해는 신라측...
순서
위와 같이 730년대부터 신라사가 추방을 당하는 등 양국간에 외교적인 마찰이 생긴 원인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일본학계의 일반적인 견해는 신라측... , 속일본기에 나타난 한국고대사상인문사회레포트 ,
위와 같이 730년대부터 신라사가 추방을 당하는 등 양국간에 외교적인 마찰이 생긴 原因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日本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는 신라측이 국력신장과 더불어 대당과의 관계改善(개선) 도 이루어져 735년에는 마침내 당으로부터 대동강 이남의 영토를 정식으로 인정받게 되어 日本 에 대등한 관계를 요구함으로써 마찰이 발생하였다고 주장한다. 즉 720년대 후반부터 발해와 당은 대립관계를 보이기 되며 발해는 日本 을 자기 진영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727년 사절을 파견하였으며, 당은 신라를 통해 발해를 견제하였던 것이다.
신일양국의 대립관계는 당시 당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복잡한 외교관계를 축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