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과연 미국을 제대로 알고 있는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07:39본문
Download : 우리가 과연 미국을 제대로 알고 있는가.hwp
`
`미국은 공산주의를 막고 민주주의를 촉진시키기 위해 때때로 전세계적으로 군사력을 행사해 간섭해야 한다. `이 책에서 나는 중립적이라고 주장하지 않을 것이며, 중립적이기를 바라지도 않는다. 다만 나와는 반대되는 생각들도 정확히 대변해 공평성을 유지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열심히 일하면 얼마든지 잘살 수 있다 가난하다면 스스로를 원망할
수밖에 없다.`
`언론의 자유는 바람직하지만 국가의 안전을 위협할 때는 그렇지 않다.` `가르치거나 뉴스를 쓰고 보도하는 사람들은 객관적이어야 한다.jg1 , 우리가 과연 미국을 제대로 알고 있는가?법학행정레포트 ,
하워드 진의 미국history 읽기--미국의 이데올로기에 도전하라
하워드 진은 다음과 같은 미국 문명의 특정한 정통(orthodox) 관념들을 재검토해 보고, 그것을 되씹어 본다.`
`인종간의 평등은 바람직하지만, 우리는 이미 할 만큼 했다.` 등등.
하워드 진은 이 책에서 시종일관 자신의 견해를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즉 불편부당한 객관성을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 책에는 현상태의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또 어떻게 시정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나 자신의 견해가 실려…(skip)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법학행정,레포트
다.
객관적으로 제시한다는 것이 곧 무엇이 옳고 그른지 분명한 견해가 없다는 식으로 비쳐진다면 말이다. 자신의 견해를 내세우려고 해서는 안 된다된다. `현실적이 되어라. 그것이 세상이 돌아가는 방식이다.`
`전쟁을 막기 위해 핵무기가 필요하다.`
`부당한 전쟁도 있지만, 정당한 전쟁도 있다 `
`명분이 아무리 좋아도 일단 법을 어기면 기꺼이 처벌을 받아야 한다.`
`세상에는 부당한 일들이 많이 벌어지지만, 부와 권력을 가지지 못한 평범한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일은 하나도 없다.
jg1
Download : 우리가 과연 미국을 제대로 알고 있는가.hwp( 96 )






우리가 과연 미국을 제대로 알고 있는가?
순서
오만한 제국의 내용을 토대로 미국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의견을 쓴 글입니다. 세상에는 내가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것들이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것들도 있다 나는 오늘날의 사상들을 객관적으로 제시하지 않으려 한다.
오만한 제국의 내용을 토대로 미국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의견을 쓴 글입니다.`
`헌법은 우리의 자유와 定義(정의)에 대한 최고의 보증이다. 본래는 어떠해야 하는가 따위를 생각하는 것은 중요치 않다.`
`alteration(변화) 를 원한다면 적절한 절차를 밟아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