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가요의 형식적 명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9 21:29
본문
Download : 고려 가요의 형식적 명칭.hwp
Download : 고려 가요의 형식적 명칭.hwp( 30 )
≪고려가요≫ :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한다.
속요는 시조 이외의 시가, 즉 장가의 한 형식이 되는 것으로 평민들 사이에 구전되어 오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우리말이 만들어진 후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등에 문자화되어 전해지게 되었다. 고려의 가요는 아무런 허식이나 과장이 없이 평민들의 애환과 심혼의 고백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따 고려가요는 우리 옛 시가 중에서도 가장 함축성이 있는 시가라 할 수 있고, 이 說明(설명) 을 배제한 절묘한 함축성은 시와 산문을 구분하여 주는 좋은 요인이 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여러 연이 중첩되어 노래가 계속 길어질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고려속요를 장가라 함은 설득력이 없어 일반화되지 않고 있따
2. 별곡
China에서 전래된 가곡에 대하여 우리의 가요를 지칭하여 쓴 말. 별곡의 전체 작품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형식적 구조는 찾을 수 없고, 모든 역사(歷史)적 장르가 각각의 독특한 형식을 가지며 이러한 형식에 의해 characteristic(특성)화되고 소통되면서 문학사에 존재할 수…(투비컨티뉴드 )
설명
고려 가요의 형식적 명칭 고려가요의형식적명칭 , 고려 가요의 형식적 명칭인문사회레포트 ,
고려 가요의 형식적 명칭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고려 가요의 형식적 명칭


고려가요의형식적명칭
다.
고려 가요의 특징은 평민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감정이 표현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 《한림별곡(翰林別曲)》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 한문계(漢文系) 시가는 경기체가(景幾體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 하고, 《청산별곡(靑山別曲)》 《서경별곡(西京別曲)》 《만전춘(滿殿春)》 《가시리》 등의 시가를 흔히 속요라 하고 있따 경기체가가 귀족의 문학이라면 속요는 평민의 것으로 두 형식은 완전히 분리되었다.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高麗歌詞)’ ‘고려가요’, 줄여서 ‘여요(麗謠)’, 또는 ‘고려장가(高麗長歌)’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1. 장가
긴 형식의 노래를 총체적으로 일컫는 용어. 조윤제는 이것을 각 연으로 분단할 수 있는 연장체 장가와 그러한 분단이 없이 무한정 연속되어 있는 가사체 장가로 나눈 다음 전자에 속요와 경기체가를 소속시켜 고려장가라 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