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이여, 그 숲을 떠나지 마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01:38
본문
Download : 님이여, 그 숲을 떠나지 마오.hwp
`지금까지는 한국文化와 history,한국적인 것에 상대하여 역기능적이어야 참다운 그리스도인이었고, 그런 것에 대해 무지하거나 무관심한 것이 훌륭한 그리스도인의 표정이었다.
고백하지만 나의 이런 견해와 의문은 `한국 현대 인문학의 한 정점`으로까지 평가되는 안병무의 민중신학에 대한 공감을 전제로 하고 있고,상당한 암시를 구하고 있다
안병무의 말을 인용해 보겠다.왜 우리 기독교는 입으로는 `기독교 토착화`를 주창하면서도 현상으로서의 기독교 행태는 그저 외로 나가고 있는가? 왜 기독교 신학은 현대사 속에 충분히 녹아들지 못한 채 서구신학의 틀에 불과한 그리스도론을 금과옥조로 섬기는 바람에 서양 신학의 최근 change(변화)를 감지 못하고 있는가?
내 의문은 `교회에 속하는 사람들만 구원받을 수 있다`는 관점을 가져온 교회가 오랜 동안 구원사와 history,그리고 교회와 국가를 이원적으로 구분하는 바람에 현대신학이 요구해온 명제인 `교회의 세속화`에서 왜, 그리고 어떻게 멀어져왔는가 하는 것이다. 한국적인 것과는 이질적인 것으로서의 그리스도교가 한국文化권에 무시간적 무장소적인 보편진리로 자기 주장을 하는 것은 올바르지 못하다.적어도 근본주의 신학으로 무장한 서구 선교사들이 전해준 그리스도교는 그러했다.





설명
님이여그숲을떠나지마
순서
Download : 님이여, 그 숲을 떠나지 마오.hwp( 95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박완서의 작품 님이여, 그 숲을 떠나지 마오에 대한 감상문입니다.(중략)그러나 그리스 도교의 `지금` `여기서`의 신앙적인 결단이란 무시간적,무공간적인 것일 수 없다.
바로 그런 사안이 명쾌하게 풀리지 않았기 때문에 박완서의 묵상집도 범용한 장삼이사(張三李四)의 신앙고백으로 떨어지고 있고,형해화된 교리문답 수준을 보이는 아쉬움을 낳았다고 본다.
다시 밝히자면 이런 얘기다.박완서의 작품 님이여, 그 숲을 떠나지 마오에 대한 감상문(report)입니다.님이여그숲을떠나지마 , 님이여, 그 숲을 떠나지 마오인문사회레포트 ,
앞 글에서 어느정도 짐작했겠지만,내 관심은 기독교 신앙에 대한 호오(好惡)의 감정이 아닌것이다 .
재확인하지만 그 글은 박완서의 묵상집을 통해 기독교인의 신앙행태와 인문학으로서의 기독교 신학,그리고 현대사 내부의 교회사적인 측면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려했던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한국적 그리스도인`이란 말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적극적인 의미를 …(To be continued )
님이여, 그 숲을 떠나지 마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