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마을과 종가(宗家)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8 23:00본문
Download : 민속마을과 종가(宗家).hwp
이 마을은 풍산 류(柳)씨 동족마을로서 우리 조상들의 전통적인 생활양식과 문화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으며, 조선조 초 공조전서를 지낸 류종혜(柳從惠)공께서 터를 잡은 후 600여 년을 풍산 류씨가 세거해 온 동족마을이다.
1.한국의 대표적 민속마을(개괄)
2.신분제사회의 特性(특성)
3.동성촌락의 형성배경
4.명문종가와 문화재
5.경주 양동(良洞)마을
6.안동 하회(河回)마을
7.기타 민속마을(투비컨티뉴드 )
제주 성읍민속마을
고성 왕곡마을
아산 외암마을
순천 낙안읍성마을
하회마을은 낙동강이 마을을 태극모양으로 돌아 흐르므로 하회(河回) 또는 물도리동이라 하며 풍수상 태극형, 연화부수형에 속하는 길지(吉地)이다.민속마을과종가 , 민속마을과 종가(宗家)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민속마을과종가
Download : 민속마을과 종가(宗家).hwp( 50 )
민속마을과 종가에 대해 조사한 資料입니다. 민속마을과 종가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정확한 위치는 경상북도 안동(安東)시 풍천면 하회리이다. 조선중기의 유학자 겸암 류운룡 선생과 임진왜란 때 영의정으로 국난극복에 큰공을 세운 서애 류성룡 선생으로 인해 크게 이름을 떨친 마을이며, 산과 강으로 둘러싸여 천혜의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외침을 한번도 받지 않아 양반층의 웅…(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민속마을과 종가(宗家)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