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i.co.kr 풍경화에 나타난 동서양의 observation방법의 차이 [교육data(자료)] > omi5 | omi.co.kr report

풍경화에 나타난 동서양의 observation방법의 차이 [교육data(자료)] > omi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mi5

풍경화에 나타난 동서양의 observation방법의 차이 [교육data(자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8 03:04

본문




Download : 풍경화에 나타난 동서양의 관찰방법의 차이 [교육자료].ppt






서양
: 종교화나 역사(歷史)화, 인물화의 배경으로 그려지던 풍경이 17세기 네덜란드 화가들에 의해 독립된 주제로 그려지기 스타트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china(중국) 의 influence(영향)을 받은 관념 산수화가 그려졌으며, 18세기 후반 조선시대의 겸재 정선에 의해 실제 사생을 통한 진경산수화가 그려졌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에 활동한 영국의 터너, 컨스터블 등의 풍경 화가들이 많은 작품을 남겼다.
한점소실점의 예
가로수(1689년 작), 호베마(네덜란드)

한점소실점의 예

아테네 학당 (프레스코/밑면 770cm/1510~1511년작/부분)>


두 점 투시원근법
:두개의 소실점, 형태가 왜곡되어 보인다..
동서양의 원근법 비교1. 서양의 원근법
서양의 원근법은 觀察(관찰) 자의 입장에서 하나의 대상으로서 풍경을 觀察(관찰) 하며, 과학적? 사실성을 중시하고 있다 과학적 원근법이라고 할 수 있는 투시 원근법(선원근법)과 대기 원급법을 연구 하여 공간감과 입체감을 표현하였다.?
서양 원근법의 효시
성 삼위일체, 마사치오, 1427∼28년, 프레스코, 667 x 317cm
과학적인 선원근법을 시각적으로 적용한 이 작품 이후로 르네상스 회화는 혁신적인 발전을 꾀하게 됨
1) 소실점에 의한 투시도법
한 점에 의한 투시도법
한 개의소실점, 집중감과 공간감이 강하다.
동·서양 원근법의 차이를 설명(explanation)할 수 있다
동·서양 풍경화를 비교 감상할 수 있다
풍경화의 역사(歷史)
동양
: china(중국) 은 남 북조 시대부터 산수화가 그려졌다.?
고원법은 산의 아래쪽에서 정상을 올려다보며 그리는 방법
평원…(省略)

풍경화에 나타난 동서양의 observation방법의 차이 [교육data(자료)]

Download : 풍경화에 나타난 동서양의 관찰방법의 차이 [교육자료].ppt( 81 )


풍경화에%20나타난%20%20동서양의%20관찰방법의%20차이%20[교육자료]_ppt_01.gif 풍경화에%20나타난%20%20동서양의%20관찰방법의%20차이%20[교육자료]_ppt_02.gif 풍경화에%20나타난%20%20동서양의%20관찰방법의%20차이%20[교육자료]_ppt_03.gif 풍경화에%20나타난%20%20동서양의%20관찰방법의%20차이%20[교육자료]_ppt_04.gif 풍경화에%20나타난%20%20동서양의%20관찰방법의%20차이%20[교육자료]_ppt_05.gif 풍경화에%20나타난%20%20동서양의%20관찰방법의%20차이%20[교육자료]_ppt_06.gif





레포트/사범교육


다.설명

풍경화에 나타난 동서양의 observation방법의 차이 [교육data(자료)]


풍경화,나타난,동서양,관찰방법,차,교육자료,사범교육,레포트


순서
풍경화에 나타난 동서양의 관찰방법의 차이 [교육자료] , 풍경화에 나타난 동서양의 관찰방법의 차이 [교육자료]사범교육레포트 , 풍경화 나타난 동서양 관찰방법 차 교육자료





풍경화에 나타난 동·서양의 觀察(관찰) 방법의 차이
풍경화의 역사(歷史)를 이해한다.
두점 소실점 감상

프티팔레(유채/49.5×65cm)1922작위트릴로(Utrillo Maurice/1883~1955/프랑스)

2.동양의 원근법
동양은 예로부터 고원법, 평원법, 심원법의 삼원법으로 공간을 표현하였다.
전체 37,80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