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i.co.kr [자연과학] 일반물리학실험 - 선 운동량 보존법칙 > omi5 | omi.co.kr report

[자연과학] 일반물리학실험 - 선 운동량 보존법칙 > omi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mi5

[자연과학] 일반물리학실험 - 선 운동량 보존법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11:18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일반물리학실험 - 선 운동량 보존법칙.hwp




만약 활차가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면 미끄럼대의 수평을 다시 조정하고 송풍기의 출력을 적당하게 조절한다.

`experiment(실험) 1` 완전 탄성 충돌 - 활차 한 개를 사용하는 경우

(1) 활차의 질량과 속도판의 폭을 재고 기록한다.
(3) 충돌 후 속도의 experiment(실험)값 v`1.E과 theory(이론)값 v`1.를 계산하고 theory(이론)값에 대…(To be continued )






다.
(2) 송풍기를 켜고 활차를 미끄럼대의 가운데에 올려놓고 활차가 움직이는지 확인한다. 이때 가하는 힘이 가능한 수평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포토게이트 계시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6) 각 experiment(실험)에서 활차의 초기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자연과학] 일반물리학실험 - 선 운동량 보존법칙


Download : [자연과학] 일반물리학실험 - 선 운동량 보존법칙.hwp( 93 )


실험과제/물리
[자연과학]%20일반물리학실험%20-%20선%20운동량%20보존법칙_hwp_01.gif [자연과학]%20일반물리학실험%20-%20선%20운동량%20보존법칙_hwp_02.gif [자연과학]%20일반물리학실험%20-%20선%20운동량%20보존법칙_hwp_03.gif [자연과학]%20일반물리학실험%20-%20선%20운동량%20보존법칙_hwp_04.gif [자연과학]%20일반물리학실험%20-%20선%20운동량%20보존법칙_hwp_05.gif
[자연과학] 일반물리학실험 - 선 운동량 보존법칙 , [자연과학] 일반물리학실험 - 선 운동량 보존법칙물리실험과제 , 자연과학 일반물리학실험 선 운동량 보존법칙

순서
[자연과학] 일반물리학실험 - 선 운동량 보존법칙

자연과학,일반물리학실험,선,운동량,보존법칙,물리,실험과제
설명







1. experiment(실험) 목적

공기 미끄럼대를 이용하여 1차원 탄성 충돌과 비탄성 충돌 experiment(실험)을 하여 충돌 전후의 선운동량과 운동에너지의 alteration(변화) 를 알아본다. 발사기의 고무줄의 수평축 정도를 조정하여 발사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한다. 몇 index 예비 experiment(실험)을 한 후 experiment(실험)을 한다.
(5) 활차에 결합된 속도판의 폭을 척정하고 속도판이 포토게이트 계시기를 지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測定) 하여 활차의 속도를 계산한다. 활차가 포토게이트 계시기를 지날 때의 시간 Δt1과 완전 탄성 충돌 후 되돌아 와 계시기를 다시 지날 때의 시간 Δt`1을 측정(測定) 한다. 속도를 계산할 때 활차가 움직이는 방향을 고려하여 (+)또는 (-)부호를 표시한다.
(3) 포토게이트 계시기의 모드는 GATE 모드로 하고 RESET 버튼을 누른다.
(4) 미끄럼대의 한쪽 끝에 있는 활차 발사기를 사용하여 활차 하나를 발사한다.

2. experiment(실험) 원리

3. experiment(실험) 기구 및 재료

공기 미끄럼대(air track), 송풍기, 활차, 포토게이트 계시기, 수평계, 추, 저울, 자

4. experiment(실험) 방법1)

(1) 공기 미끄럼대에 송풍기를 연결하고 수평계를 사용하여 미끄럼대가 수평이 되도록 조절나사를 조정한다.
(2) 활차 1개와 포토게이트 계시기 1대를 사용하여, 공기 미끄럼대 반대쪽 끝 부분을 향하여 활차를 발사시켜 탄성 충돌시킨다.
전체 37,80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