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i.co.kr 이문화간 의사소통오해: 한국어와 일본어를 중심으로 > omi5 | omi.co.kr report

이문화간 의사소통오해: 한국어와 일본어를 중심으로 > omi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mi5

이문화간 의사소통오해: 한국어와 일본어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19:54

본문




Download : 이문화간 의사소통오해 한국어와 일본어를 중심으로.hwp




의사소통오해나 갈등은 한국어와 Japan어 각 언어에 있어서(intralanguage)나 한국어와 Japan어간의 사용(interlanguage)에서도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며, 여기서는 둘 다 다루기로 한다.
여기까지 異文化적응에 이르는 과정을 시기별로 서술했으며, 다음에는 한국어와 Japan어 사용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오해나 갈등에 대해 구체적인 데이터를 토대로 논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다른 文化(문화) 사이에서 행해지는 언어행동은 상대국의 언어능력 뿐 아니라, 그 배경에 있는 사회·文化(문화)적 규범, 사람들의 가치관등을 파악할 수 있는 文化(문화)능력과, 통합적으로 적절히 운용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까지 갖추어 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설명
이문화간 의사소통오해: 한국어와 일본어를 중심으로



Download : 이문화간 의사소통오해 한국어와 일본어를 중심으로.hwp( 57 )






한국인과 일본인에게서 행해지는 커뮤니케이션과 그로 인해 일어나는 의사소통오해(miscommunication)에 대해서 외국인들이 일본문화의 적응과정을 정리하고, 의사소통오해나 갈등에 초점을 맞추어 각 시기별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Braun(1988)은 외국어 습득에서 `공손함(politeness)`의 습득을 예로 들어 상대국의 文化(문화)에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문법능력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또 Holmes(1992)도 `공손함`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그 커뮤니티의 언어 뿐 아니라 사회·文化(문화)적 가치관까지도 이해해야 한다고 말하며 文化(문화)능력의 필요성(必要性)을 주장하고 있다
한국어와…(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다. 사회와 文化(문화)의 규칙이나 규범에 많은 effect(영향) 을 받는 대우표현(경어)의 운용에 있어서는 특히 文化(문화)능력이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필요불가결한 것이다. , 이문화간 의사소통오해: 한국어와 일본어를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이문화간%20의사소통오해%20한국어와%20일본어를%20중심으로_hwp_01.gif 이문화간%20의사소통오해%20한국어와%20일본어를%20중심으로_hwp_02.gif 이문화간%20의사소통오해%20한국어와%20일본어를%20중심으로_hwp_03.gif 이문화간%20의사소통오해%20한국어와%20일본어를%20중심으로_hwp_04.gif 이문화간%20의사소통오해%20한국어와%20일본어를%20중심으로_hwp_05.gif 이문화간%20의사소통오해%20한국어와%20일본어를%20중심으로_hwp_06.gif
순서


Ⅰ. 서론

Ⅱ. 이文化(문화) 적응기에 이르는 과정별 특징
제 1기 : 흥분기
제 2기 : 실망 / 望鄕(homesick)기
제 3기 : 이해기
제 4기 : 적응기

Ⅲ. 대우표현과 커뮤니케이션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Ⅳ. 대우행동의 기본

Ⅴ. 해석 및 고찰

Ⅵ. conclusion(결론)
● 한국어와 Japan어의 높임법과 반말

이와 같은 異文化 적응에 관한 과정별 분류는 필자 자신의 15년간의 Japan체제경험을 토대로 한 연구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이와 유사한 연구가 Chen & Starosta(1998)에서도 보인다.

한국인과 일본인에게서 행해지는 커뮤니케이션과 그로 인해 일어나는 의사소통오해(miscommunication)에 대상으로하여 외국인들이 일본문화의 適應(적응)과정을 정리(整理) 하고, 의사소통오해나 갈등에 초점을 맞추어 각 시기별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Ⅲ. 대우표현과 커뮤니케이션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한국어와 Japan어에는 경어체계가 존재하며, 또한 상대국의 언어를 습득(acquisition)하기 위해서는 경어사용법을 습득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때 경어형식을 습득해도 어떤 장면에서, 누구에게, 어떤 경어형식을 사용할지를 모르고, 또 경어의 배경에 있는 상대국의 文化(문화)와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가 모자라면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은 이루어질 수 없다고 생각한다.
전체 37,80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