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센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7 08:52
본문
Download : 한센병_3213633.hwp
2. 原因
한센병의 原因균은 항산성의 마이코 박테리아인 한센균(나균)(Mycobacterium Leprae)이 며 그 모양은 결핵균과 매우 비슷하다.
- 한센균(나균)은 생검이나 조직도말에서 한 개씩 또는 응집하여 또는 군체로 나타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한센균(나균)은 결핵균과 더불어 항산성균인 동시에 항알콜균으로서 병원성 미생물중 가 장 먼저 보고된 나균이지만 인공적으로 배양증식되지 못하고 생체의 일부에서만 자란다.
- 한센균(나균) 자체는 매우 약하며 주위 environment에 매우 …(투비컨티뉴드 )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한센병
한센병에 대한 진단방법, 신경검사 방법에 대한 그림자료와 기타 서식자료로 잘 정리된 자료입니다.
1) characteristic(특성)
- 현재까지 인공배지에서 증식시키지 못하고있다
- 나균이 누우드마우스나 아르마딜로의 체내에서 이분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平均(평균) 2주이다.
- 1988년 조사資料에 의하면 단순나증상을 가지고 기능장애가 없는 Ⅰ도 환자가 52%, 경도 의 수족기능장애를 가지고 가벼운 노동을 할 수 있는 Ⅱ도 환자가 22%, 중등도의 불구와 기능장애를 가지고 약 반의 노동력을 보유하는 Ⅲ도 환자가 13%, 단신 거동은 가능하지 만 노동력은 완전히 상실한 Ⅳ도 환자 9%, 그리고 홀로 거동도 할수 없어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환자도 4%나 되었다.
→ 면역기능이 결핍된 test(실험) 동물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하다.






순서
다.
- 주요 토착지역 : 통남아, 필리핀, 파푸아뉴기니아, 인디아, 한국, 중국(China), 열대 아프리카, 태평 양 군도의 일부, 남아메이카 일부지역
- 1988년 가톨릭의대 만성병연구소에서 확인된 신환자들의 characteristic(특성)에서 나타난 14세 이하는 수 가 적고, 대부분 40대 이후에 발병함은 그전파가 많이 감소됐음을 보여준다. 1. 질병 분포
2. 原因
3. 잠복기
4. 감염 및 전파경로
5. 역학
6. 임상 증상
7. 한센병의 진단
♣ 신경 손상
1.신경손상의 각 단계
2.자주 손상되는 신경들
3.신경손상의 진단 방법들
4.신경검사 방법
5.신경손상의 기록 방법과 실시 시기
8. 한센병의 병형분류
9. 치료
10. 나reaction 과 그의 대응
11. 한센병에 의한 속발증 및 병발증
제 3 장 신경손상의 치료와 예방
나균에 의하여 피부와 말초신경에 주로 침해하는 만성전염성 면역 질환
1. 질병 분포
- 1943년 미국에서 개발한 efficacy적 항나화확제제(dapsone : DDS)의 출현과 리팜피신 등 내성 나균을 위한 2차 약이 개발되어 유리나라에서도 점차 감소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한센병 , 한센병공학기술레포트 ,
한센병
Download : 한센병_3213633.hwp( 91 )
,공학기술,레포트
한센병에 대한 진단방법, 신경검사 방법에 대한 그림자료(data)와 기타 서식자료(data)로 잘 요약된 자료(data)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