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8:56
본문
Download : 한국인에 대하여.hwp
한국 사람들은 타인(他人)과 자기 집을 말할 때에도 中國사람들처럼 나(我)의 집이라고 분명하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집`이라고 말하고, 자기가 낳은 아이를 가리킬 때에도 `우리 아이`라고 표현한다. 한 남자가 여자 친구 앞에서까지도 `우리 아이, 우리 집`이라는 말을 스스럼없이 쓰는데 서방인이나 中國인이 들으면 그들을 부부로 착각하기가 십상이다. `우리`라는 말속에 남을 자기처럼 믿어주고 수용해 주는 한국인의 사랑이 듬뿍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아
하지만 `우리`라는 concept(개념)은 동전의 앞뒤와 마찬가지로 인간관계를 소원하게 만드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할 것이다. 직접 당사자를 찾아 말하지는 못하고 뒤에서만 걱정하다 보니 그런 말이 일단 밖으로 새어나가면 간섭을 받는 당사자는 그것을 자기에 대한 험담으로 생각하고 대단히 기분이 상해하고 자존심 상해한다.. 한국인의 이런 `타아(他我)` 의식, 즉 `우리`라는 공동체의식이 이기적이고 개인적이고 타산적인 오늘날의 근대문명과 많은 마찰을 빚고 있고, 그런 마찰이 외려 인간관계를 더욱 소원하게 만들고 가까웠던 상대에 대해 적의까지 품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남이 결혼하는 일로부터 처음 해서 환갑을 쇠는 일, 차를 사는 일, 외식하는 일, 성당이나 교회에 나가는 일, 아이를 가르치는 일, 수업에 참가하지 않는 일, 심하면 걸음걸이까지 걱정하고 간섭하는 일 등 말이다.
어느 中國인 학자가 한국에 와서 가장 놀랬던 것은 한국 사람들이 너무나 쉽게 남의 일에 간섭하는 일이었다고 한다. 자기 속에 남이 있고 남 속에 자기가 있다는 착한 타아(他我) 의식, 우리의식으로 출발한 일이 결국에는 자아(自我), 타인(他人)의식에 의해 이렇듯 악으로 곡해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말하는 사람은 어떤 집단체 의식이나 공동체의식에서, 아니 타아(他我)라는 애틋한 사랑의식에서 말했을 수도 있으나 듣는 사…(To be continued )
Download : 한국인에 대하여.hwp( 92 )
한국인에대하여
다.
순서






한국인에대하여 , 한국인에 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한국인에 대하여
,인문사회,레포트
Ⅰ. 서론
Ⅱ. 中國인이 보는 한국인
Ⅲ. Japan인이 보는 한국인
Ⅳ. conclusion
참고자료(資料)
Ⅱ.中國인이 보는 한국인
▷情이 많은 한국인
中國인들은 한국인들이 정(情)이 많은 민족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