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i.co.kr 조선시대 예학사(禮學史) 연구의 새 지평과 걸림돌 > omi4 | omi.co.kr report

조선시대 예학사(禮學史) 연구의 새 지평과 걸림돌 > omi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mi4

조선시대 예학사(禮學史) 연구의 새 지평과 걸림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06:04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 예학사(禮學史) 연구의 새 지평과 걸림돌.hwp





예학의 방법론에 따른 concept(개념)의 설정은 당시의 예학사를 연구하는데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예론’이나 ‘예설’은 사실 똑 같은 말 똑같은 뜻(논설)을 가진 용어이다. 오히려 ‘예론’은 논쟁적 성격이 강하고 ‘예설’은 학설적 성격이 강한 듯한 뉴앙스를 가지고 있다아 그러나 똑 같은 예송 논변에 대하여 ꡔ고산집ꡕ에서는 “예설”(권 3상)로, ꡔ성호전서ꡕ에서는 “예론”(권 23)으로 기술하였다. 그리하여 전자는 성리학 수양론과의 논리적 연관성에 주목하였고, 후자를 정통론으로서의 종법문제와 경서비판에 의한 견해 차이에 역점을 두었다.
셋째, ‘왕례(王禮)’ ‘事例(사례)(士禮)…(drop)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조선시대 예학사(禮學史) 연구의 새 지평과 걸림돌.hwp( 56 )


다. 이는 결국 두 말이 같은 뜻임을 말하는 것이다. 본서에서는 전자를 예에 대한 일종의 철학적(형이상학적) 탐구에 의한 논설로... , 조선시대 예학사(禮學史) 연구의 새 지평과 걸림돌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조선시대 예학사(禮學史) 연구의 새 지평과 걸림돌



둘째, 예론(禮論)과 예설(禮說)을 달리하여 개념(槪念)을 설정한 문제이다. 결국 예론은 예 자체의 본질과 의의를 밝혀내는 것이며, 예설은 경서비판에 입각하여 예의 내용의 옳고 그름을 살펴보는 것이라고 定義(정이)하였다. 결국 똑 같은 뜻을 가진 용어들을 억지로 달리 concept(개념)화하여 씀으로서 혼란을 초래하는 효과(效果)를 낳고 있다아 차라리 ‘예의 철학적 논설’ 및 ‘예의 경학적 논설’이라고 풀어쓰는 편이 낳지 않을까 싶다.


둘째, 예론(禮論)과 예설(禮說)을 달리하여 개념을 설정한 문제이다. 본서에서는 전자를 예에 대한 일종의 철학적(형이상학적) 탐구에 의한 논설로...
조선시대%20예학사(禮學史)%20연구의%20새%20지평과%20걸림돌_hwp_01.gif 조선시대%20예학사(禮學史)%20연구의%20새%20지평과%20걸림돌_hwp_02.gif 조선시대%20예학사(禮學史)%20연구의%20새%20지평과%20걸림돌_hwp_03.gif 조선시대%20예학사(禮學史)%20연구의%20새%20지평과%20걸림돌_hwp_04.gif 조선시대%20예학사(禮學史)%20연구의%20새%20지평과%20걸림돌_hwp_05.gif 조선시대%20예학사(禮學史)%20연구의%20새%20지평과%20걸림돌_hwp_06.gif

둘째, 예론(禮論)과 예설(禮說)을 달리하여 concept(개념)을 설정한 문제이다. 본서에서는 전자를 예에 대한 일종의 철학적(형이상학적) 탐구에 의한 논설로, 후자를 일종의 경학적(고증학적) 탐구에 의한 논설로 대비시키는 듯하다.
전체 37,81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