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은 꼭 읽어야 할 과학의 역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16:49본문
Download : 한번은 꼭 읽어야 할 과학의 역사(2).hwp
2. 오일러
둘째로 오일러의 부분을 흥미롭게 보았다. 브라키스토크론이란, 공이 가장 빨리 내려오는 면의 형…(투비컨티뉴드 )
_hwp_01.gif)
_hwp_02.gif)
순서
레포트/감상서평
한번은 꼭 읽어야 할 과학의 역싸
Download : 한번은 꼭 읽어야 할 과학의 역사(2).hwp( 26 )
설명
다.
1. 가우스
책 내용 중에서 첫째로 관심 있게 본 부분은 가우스를 설명(說明)하는 부분이다. 그의 대부분의 theory 은 책으로 남지 않았다고 한다. 과학을 못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생각하기를 귀찮아 한다는 것이다. 또 그는 정수론에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위대한 수학자가 나조차도 쉽게 여기는 정수에 관심이 깊었다니, 하지만 저자의 정수가 쉽게 보일지 몰라도, 세계의 많은 난제들도 정수에서 많이 나온다는 말을 듣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이유는 브라키스토크론이 나의 호기심을 자극하였기 때문일것이다 오일러는 브라키스토크론을 밝히려고 애썼다고 한다. 과학을 잘 하는 방법은 이러한 약점을 강점으로 승화시키는 노력이 아닐까 생각한다. 위에서 서술했듯 호기심과 그 답이 누적되면 그것이 곧 과학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일것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봤을 때에는 현재 누적되어 발전해나가고 있는 과학에서 그치지 않고 비약적인 발전을 계속해서 해나갔으면 좋겠다. 책 속에서 저자는 ‘과학은 누적의 학문’ 이라고 하였는데 나 역시 동의한다. 많은 만물과 현상에 호기심을 갖는 나로서는 이번 책은 좋은 기회였다. 그는 어렸을 적부터 소질을 보였으며, 당시 큰 붐을 일으킨 정17각형 그리기의 장본인이다. 만약 그가 조금 더 적극적인 사람 이였다면 후손들인 우리들이 조금 더 좋은 자료(資料)와 근거를 가지고 연구 할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운 생각이 든다.한번은 꼭 읽어야 할 과학의 역싸
한번은 꼭 읽어야 할 과학의 역사 , 한번은 꼭 읽어야 할 과학의 역사감상서평레포트 , 한번은 꼭 읽어야 할 과학 역사
한번은,꼭,읽어야,할,과학,역사,감상서평,레포트
한번은 꼭 읽어야 할 과학의 歷史
나는 과학의 처음 은 만물에 대한 호기심과 그 답을 찾는 과정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그 사람들은 호기심이 없고 정해진 틀인 세상에 자신을 끼우려 할뿐, 자신의 독창적, 창의적 사고에 의해 세상의 틀이 뒤바뀔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지 못하는 것 같다. 이유는 주변 사람들의 비난과 비판을 의식하여 확실하지 않은 자신의 주장은 세상 앞에 공개하기를 꺼려했다는 것이다. 난 ‘정수’ 라고 하는 순간 비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