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i.co.kr 한국의 근, 현대사의 이해 - 해방전후기 민족국가 수립운동과 한계 > omi4 | omi.co.kr report

한국의 근, 현대사의 이해 - 해방전후기 민족국가 수립운동과 한계 > omi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mi4

한국의 근, 현대사의 이해 - 해방전후기 민족국가 수립운동과 한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1:40

본문




Download : 한국의 근, 현대사의 이해 - 해방전.hwp




이에 따라 분할에 관한 명시적인 국제합의가 없었던 한반도는 미국의 군사적 편의주의와 소련의 이해관계에 따른 임시조처로 광복과 동시에 남·북으로 분할되었다.

한국의 근, 현대사의 이해 - 해방전-7538_01.gif 한국의 근, 현대사의 이해 - 해방전-7538_02_.gif 한국의 근, 현대사의 이해 - 해방전-7538_03_.gif 한국의 근, 현대사의 이해 - 해방전-7538_04_.gif 한국의 근, 현대사의 이해 - 해방전-7538_05_.gif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제1조) 북위 38도선 이남의 조선영토와 조선 인민에 대한 통치의 모든 권한은 당분간 본관의 권한 하에 시행한다.

* 【태평양 방면 미 육군 총 사령관 맥아더 포고령 1호】
다.한국의 근, 현대사의 이해,해방전후기 민족국가 수립운동과 한계



45년 2월 얄타회담에서는 한반도 문제에 관한 formula(공식) 발표는 없었으나 루스벨트가 제안해 왔던 신탁통치 문제가 재확인되어, 한반도 전후 처리는 미·소가 주도하는 신탁통치 방향으로 굳어져 갔다. 주민은 본관의 별도의 명령이 있을 때까지 일상적인 직무에 종사하라.

먼저 갈등에 마주향하여 말하자면 하나의 목적이나 가치를 두고 서로 양립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국제관계에 있어서 양국 간에 갈등의 심화는 분쟁과 전쟁으로 까지 발전할 수 있다.우리 한민족의 문제인 남북갈등은 남한과 북한 간의 갈등으로서 세계 제2차대전 후 새로운 국제질서이며 국제권력구조인 미국의 자본주의, 소련의 공산주의를 중심으로 한 동서냉전체제의 한 산물로서 훗날 남과 북으로 분단되는 근본적인 계기가 되는 중요한 history적 사건의 사발점이라 할 수 있다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에 진주하게 된 배경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 승리가 갈수록 분명해짐에 따라 연합군 측은 전후 처리 문제에 관심을 나타내기 처음 하였다

(제2조) 政府 등 모든 공공 사업 기관에 종사하는 유급·무급 직원과 고용인, 그리고 기타 중요한 제 반 사업에 종사하는 자는 별도의 명령이 있을 때까지 종래의 정상 기능과 업무를 수행할 것 이며, 모든 기록 및 재산을 보호 보존하여야 한다.
순서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에 진출한 궁극적 목적을 들자면 우선 소련은 한일합방이전부터 우리나라에 눈독을 들였었다. 바로 부동항의 피료썽과 함께 태평양진출의 전진기지로 사용하기 위해서였다. 즉, 우리나라 독립에는 관심이 없었다는 이야기이며, 태평양의 안전한 확보를 위하여 우리나라로 진주했다.
소련도 제2차 세계대전 전승국으로서 자국의 effect(영향) 력을 확대하는 것이 최대 관심사였으므로 미·소 양군은 당시 한국 국민들 생각과는 달리 해방군이 아닌 점령군 성격을 띠고 있었다.

Download : 한국의 근, 현대사의 이해 - 해방전.hwp( 27 )


(제5조) 군정 기관 동안 영어를 모든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공용어로 한다. 한편 45년 8월 얄타협정에 따라 대일전에 참전한 소련군은 사할린과 만주의 일본 관동군을 동시에 공격하고 남진을 시작, 8월 12일 한국 청진(淸津)에 상륙하였다. 소련은 일본 훗카이도(北海道) 일부를 점령할 목적으로 이에 동의, 서울까지 진출해 있던 일부 소련군을 38°선 이북으로 철수시켰다. 또한 미군은 진주에 앞서 포고 제1호를 통해 점령군에 대한 반항 행위나 질서를 교란하는 사람은 가차없이 엄벌에 처한다고 발표하였다. 따라서 광복과 함께 한민족은 곧바로 새로운 외세를 맞게 되었다.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에 진주하게 된 배경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 승리가 갈수록 분명해짐에 따라 연합군 측은 전후 처리 문제에 관심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미국은 우리나라의 해방을 도와주러 해방군이 아닌 점령군으로 왔다는 것을 보여준다. 45년 7월 미·영·중·소 수뇌 회담 결과 발표된 포츠담선언에서는 카이로선언에서 결정된 한국독립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제4조) 주민의 재산권은 이를 존중한다.




설명
한국의 근, 현대사의 이해 - 해방전후기 민족국가 수립운동과 한계


먼저 갈등에 대해서 말하자면 하나의 목적이나 가치를 두고 서로 양립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국제관계에 있어서 양국 간에 갈등의 심화는 분쟁과 전쟁으로 까지 발전할 수 있다.우리 한민족의 문제인 남북갈등은 남한과 북한 간의 갈등으로서 세계 제2차대전 후 새로운 국제질서이며 국제권력구조인 미국의 자본주의, 소련의 공산주의를 중심으로 한 동서냉전체제의 한 산물로서 훗날 남과 북으로 분단되는 근본적인 계기가 되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의 사발점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미국은 한국 전역을 소련이 장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북위 38°선을 경계로 하는 한반도 분할점령을 소련에 제의하였다.
전체 37,81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