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i.co.kr G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 omi4 | omi.co.kr report

G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 omi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mi4

G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05:15

본문




Download : G단백질의 구조와 기능.hwp






Ⅱ. G단백질의 subunit구조

현재까지 정제되어 해석이 진행되고 있는 G단백질로서는 앞에서 논했던 Gs, Gi, Gt이외에, Gi와 유사한 단백질로서 포유동물의 대뇌에서 정제되었으며, 신경계에 있어서 정보전달에 관여한다고 추정되는 Go등이 있따 이들은 모두 α,β,γ의 3종류의 subunit로 구성되어져 있으며4), 각각의 subunit의 분자량은 SDS-PAGE상, α가 39∼45kDa(Gsα에는 52kDa의 분자량을 가진 것도 알려져 있다), β가 35∼36kDa, γ가 8∼10kDa이다(그림2).
이 중 α subunit에 GDP, GTP등의 guanine nucleotide…(투비컨티뉴드 )
G단백질은 세포막을 통한 정보전달계에 관여하는 일군의 GTP결합단백질이다. 최근 유전자의 단리와 구조해석의 결과, G단백질을 구성하는 1차구조가 해명되었고, 또한 효모에 있어서도 상동유전자의 존재가 밝혀졌다. , G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자연과학레포트 ,

Ⅰ. 정보전달계와 G단백질

Ⅱ. G단백질의 subunit구조

Ⅲ. G단백질 α subunit의 다양성

Ⅳ. 효모의 G단백질 상동 유전자

conclusion


한편 최근에 cDNA cloning에 의해 G단백질을 구성하는 각 subunit의 1차구조가 잇달아 밝혀지고 있따 또 그것과 더불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G단백질의 분자다양성이 밝혀지는등 몇개의 새로운 것들이 해명되고 있따 또 최근 필자들은 S.cerevisiae에서 G단백질의 α subunit상동유전자를 단리하고, G단백질이 하등진핵세포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생물종에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19).
여기서는 G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유전자의 단리와 구조해석의 결과에서 밝혀진 최근의 것들을 중심으로 논한다.
G단백질은 세포막을 통한 정보전달계에 관여하는 일군의 GTP결합단백질이다. 이러한 점에서의 최근 동향을 紹介한다.
,자연과학,레포트
G단백질의%20구조와%20기능_hwp_01.gif G단백질의%20구조와%20기능_hwp_02.gif G단백질의%20구조와%20기능_hwp_03.gif G단백질의%20구조와%20기능_hwp_04.gif G단백질의%20구조와%20기능_hwp_05.gif G단백질의%20구조와%20기능_hwp_06.gif


G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레포트/자연과학





Download : G단백질의 구조와 기능.hwp( 89 )










설명



순서
다. 최근 유전자의 단리와 구조해석의 결과, G단백질을 구성하는 1차구조가 해명되었고, 또한 효모에 있어서도 상동유전자의 존재가 밝혀졌다. 이러한 점에서의 최근 동향을 소개한다.
전체 37,81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