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여진 및 거란 대외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10:33
본문
Download : 고려시대의 여진 및 거란 대외 관계.hwp
그러므로 대외관계사 분야는 자연 주변부의 위치로 전락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침략과 저항의 논리로서 대외관계를 볼 수 없다. 특히 한국사에서 대외관계사는 일제의 식민사학이 한국사를 왜곡하는 하나의 도구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연구자들도 이 분야 연구를 은근히 기피해온 측면이 있었다.
순서
Download : 고려시대의 여진 및 거란 대외 관계.hwp( 23 )
다. 대표적인 예는 단재 신채호의 견해를 들 수 있따 이러한 견해는 이후에도 조려시대 정치·culture사까지 자주와 사대라는 입장에서 해석하는 연구경향이 아직도 강하게 자리잡고 있따 물론 전근대사회 대외관계가 인적·물적 자원의 이동과 교류 면에서 오늘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국내의 정치·사회변동에 상당한 影響(영향)을 끼친 것은 무시할 수 없다. 이외에 자주와 사대 논리로 대외관계사를 바라보는 시각이 있는데, 이 또한 침략과 저항이라는 시각의 연장에 불과하다.
식민사학자들은 일찍이 우리history(역사) 를 끊임없는 외세침략과 거기에 저항하는 history(역사) 로 파악하여, 침략과 저항의 두 관념 중에서 침략에 더 비중을 두었고, 따라서 대외관계사 역시 주로 침략이라는 측면에서 서술했다. I. 머리말
II. 10~12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고려의 對 中國 정책
1. 10~12세기 동아시아 정세
2. 고려의 對 中國 정책
III. 고려의 對 거란 정책
1. 고려의 북진정책과 대 거란 정책
2. 고려-거란 제 1차 전쟁
3. 고려-거란 제 2차 전쟁
4. 고려-거란 제 3차 전쟁
5. 고려-거란 전쟁의 의의와 影響(영향)
6. 고려-거란 전쟁과 대외무역
IV. 고려의 對 여진 정책
1. 12세기 여진의 등장과 고려의 대응
2. 윤관의 여진 정벌과 동북 9성
3. 고려의 對 金 정책
V. 10~12세기 대외관계의 전개와 고려사회
VI. 고려시대의 대외무역
VII. 맺음말
I. 머리말
그 동안 대외관계사 분야는 history(역사) 학에서 주류의 위치이기보다는 history(역사) 서술상 일종의 구색맞추기 취급을 받았다. 따라서 당시 국내 정치·사회변동과 연계시켜 본다면 대외관계는 history(역사) 연구와 인식의 지평을 넓혀주는 주요한 연구분야의 하나가 될 수 있따 따라서 거란·금 등의 주변국가와 고려간에 나타난 교섭과정을 요점하면서, 그러한 과정에 나타난 history(역사) 적 의미를 추적하고자 한다. 반면 국내 연구는 침략보다는 저항의 측면에 더 비중을 두고 history(역사) 를 서술하였고, 그러다 보니 대외관계사 연구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침략과 정항이라는 틀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당시 전개된 대외정세가 고려사회의 내재적 history(역사) 발전에 끼친 여러 측면들을 검토함으로써 10~12세기 고려 대외관계사에…(省略)
고려시대의 대 여진, 거란에 대한 정책과 관계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고려시대의여진및거란대외관계 , 고려시대의 여진 및 거란 대외 관계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고려시대의 여진 및 거란 대외 관계
고려시대의여진및거란대외관계






고려시대의 대 여진, 거란에 대한 정책과 관계에 마주향하여 조사하였습니다. 모든 국내외의 조건을 배제한 채 저항의 측면은 모두 자주로, 침략에 순응하거나 방관한 것은 무조건 사대로 간주하는 단선적 시각이 자주와 사대의 논리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