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집단상담 발전과정과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6 09:11본문
Download : 한국집단상담 발전과정과 전망.hwp
,의약보건,레포트
한국집단상담발전과정
다. 결과에 의하면 1988년 현재 전국적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있는 대학은 29개로 전체의 82.7% 였다. 이후 현재까지 계속되어 오고 있는 한양대학교의 연차 세미나는 우리나라 집단상담뿐만 아니라 상담발전 전반에 공헌해 왔다고 평가된다 첫 번째 세미나의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說明)하면 이장호(1988)가 주제 발표를 하였으며 구본용(1988)은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집단상담의 활용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때 紹介된 집단 상담 program을 보면 이혜성(1988)의 “잠재력 개발 program.” 서병완(1988)의 “학습습관 향상 program.” 김남성(1988)의 “시험불안 극복 program,” 원호택(1988)의 “스트레스대처 program,” 이형득(1988b)의 “가치명료화program,” 홍경자(1988b)의 “자기표현 및 주장 program,” 정영운(1988)의 “적응강화 program,” 김재환(1988)의 “정신치료 프…(省略)
Download : 한국집단상담 발전과정과 전망.hwp( 56 )
순서






한국집단상담 발전과정과 전망에 대해 조사한 자료(data)입니다.한국집단상담발전과정 , 한국집단상담 발전과정과 전망의약보건레포트 ,
레포트/의약보건
< 목 차 >
Ⅰ.들어가는 말
Ⅱ.집단상담의 도입과 정착
1. 전남 광주 지역에서 스타트된 집단상담운동
2. 대구지역에서 스타트된 집단상담 운동
Ⅲ.집단상담의 발전과 보급
1. 대학 학생생활연구소의 활동
2. 상담관련 학회의 활동
3. 사회단체 및 기관의 활동
4. 학술연구활동의 성과
Ⅳ. 앞으로의 집단상담 발전을 위한 제언
·출처
한편 구본용(1988)은 전국 4년제 대학(교)의 104개교를 대상으로 하여 집단 상담의 활용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5개 대학으로부터 회수(회수율: 43%)된 응답내용을 分析(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리고 집단 상담의 필요성(必要性)에 대한 반응으로서는 33개교(95.6%가 “필요하다”는 식으로 응답하여 거의 모든 대학이 집단상담에 대한 필요성(必要性)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에서는 1988년부터 해마다 상담관련 학술세미나를 개최해 왔는데 제1회 세미나의 주제로 “대학생지도에서의 집단상담의 활용방안(方案)”이 채택되어 다양한 집단상담program이 紹介되고 발표내용에 대한 토론이 있었다.설명
한국집단상담 발전과정과 전망
한국집단상담 발전과정과 전망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이것은 5년 전에 발표된 이은순 과 손향숙(1983)의 결과인 22개교(47.8%)보다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김언주(1992)는 전국의 74개 대학(교)에서 최근까지 발간한 학생생활연구소의 연구지 541권의 내용을 중심으로 分析(분석)한 결과 표집 된 대학에서 집단상담과 관련하여 모두 26가지 종류의 program을 운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