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체능] 근활주설(Sliding filament theor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1 13:09본문
Download : [예체능] 근활주설(Sliding filament theory).hwp
[예체능],근활주설(Sliding,filament,theory),예체능,레포트
Download : [예체능] 근활주설(Sliding filament theory).hwp( 27 )
레포트/예체능
[예체능] 근활주설(Sliding filament theory)
설명
다.
순서
![[예체능]%20근활주설(Sliding%20filament%20theory)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8%88%EC%B2%B4%EB%8A%A5%5D%20%EA%B7%BC%ED%99%9C%EC%A3%BC%EC%84%A4(Sliding%20filament%20theory)_hwp_01.gif)
![[예체능]%20근활주설(Sliding%20filament%20theory)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8%88%EC%B2%B4%EB%8A%A5%5D%20%EA%B7%BC%ED%99%9C%EC%A3%BC%EC%84%A4(Sliding%20filament%20theory)_hwp_02.gif)
[예체능] 근활주설(Sliding filament theory)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예체능] 근활주설(Sliding filament theory)예체능레포트 , [예체능] 근활주설(Sliding filament theory)
근활주설(Sliding filament theory)
골격근의 수축과 이온에 의한 근육운동
① 활주설
- 액틴 섬유가 미오신 섬유 사이로 미끄러져 들어가 근육수축이 이루어진다는 이론(理論)
- 근세사의 길이가 변하지 않고 근 수축이 일어 난다는 학설
② 근육의 구조 : 근육 ] 근섬유(근세포) ] 근원섬유
- 골격근은 근원섬유라고 하는 수축성 섬유가 가득찬 세포로 이루어진 근섬유로 구성
- 근원섬유는 미오신과 엑틴이라는 단백질로 구성
⊙ 근원 섬유의 구조
- I대(명대): 액틴만으로 구성된 부분
- A대(암대): 미오신이 배열된 부분
- H대: 미오신과 엑틴으로 구성된 부분
- Z막: I대의 중앙 경계선
⊙ 근육 수축의 기구
- 자극을 받으면 미오신 섬유사이로 액틴 물질이 들어옴
- A대의 길이는 變化가 없고 I대와 H대의 길이 짧아짐
③ 근수축과정
- 운동 신경이 말단에서 아세틸콜린 분비
- 근섬유막이 탈분극되어 활동전류 발생
- 근소포체에 있던 Ca+가 방출
- 액틴 섬유와 미오신 섬유 밀착 : 액틴-미오신 형성
- 미오신에 있던 ATPase가 활성화, ATP를 분해시킴으로써 에너지 생성
- 미오신 섬유가 액틴 섬유를 끌어당겨 근절 짧아짐
- 근육 수축
④ 근육의 이완: 운동 신경의 자극 멈추면 Ca+는 능동수송에 의해 다시 근소포체 속으로 들어감→ 미오신 섬유가 액틴 섬유에서 떨어져 근육 이완
⑤ 근수축의 에너지원
- 근수축에 사용되는 에너지원은 ATP이며, ATP는 글리코겐과 크레아틴 인산에 의해 계속 만들어짐 (ATP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
- 운동하여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근육 속에 저장되어 있던 글리코겐이 젖산으로 되면서 생성되는 ATP가 이용
- 젖산이 근육에 쌓여 피로현상이 나타남
- 크레아틴 인산이 크레아틴과 인산으로 분해되면서 ATP가 생성
- 휴식을 취하여 산소를 공급받으면, 포도당이 정상적인 호흡과정을 거쳐 분해 되어 많은 ATP가 생성
- 이 에너지로 젖산이 글리코겐으로,…(To be continued )
[예체능] 근활주설(Sliding filament theory)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