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future 정책포럼 창립 세미나]국가백년대계 future 예측에 달렸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3:19본문
Download : 071106110627_.jpg
이 추진체제를 중심으로 각 부처가 未來(미래)의 비전을 공유하고 정책들을 연계하고 조정해야 한다.
우선 대통령 직속 기구로 ‘국가未來(미래)전략(戰略) 처(가칭)’를 신설하고 기획예산처의 기능 일부와 대통령 자문 정책위원회, 청와대 비서실 기능 일부를 합치는 방식으로 未來(미래)전략(戰略) 기능조직 통합을 이뤄야 한다. 또한 정보위원회가 가진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을 재할당해 다양한 보고서를 작성한다. 또 비정기적 전략(戰略) 적 감사를 통한 긴급 현안과 도전project를 확인하고 그에 대한 문제의식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5일 국가未來(미래)정책포럼 창립 기념 세미나에서 제시된 未來(미래) 예측과 국가未來(미래)전략(戰略) 마련 measure(방안) 을 intro 한다. 공무원과 NGO, 학계, 민간, 해외 관계자 등 다양한 싱크탱크 풀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핀란드는 未來(미래)상임위원회(Committee for the Future)가 국가 未來(미래)전략(戰略) 의 수립과 수행 및 국가 未來(미래)보고서 작성을 담당한다.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국가경쟁력과 未來(미래)/오명 국가未來(미래)정책포럼 이사장(건국대 총장, 전 부총리겸 과학기술부장관)
속도와 관련해선 未來(미래)와 국정운영체계, 관료주의와 속도의 충돌 등을 해결해야 하고, 未來(미래)사회 變化(변화) 및 도전과 관련해선 기후變化(변화) 및 그에 따른 자연재해 급증, 에너지 부족 및 자원고갈, 지역·계층간 격차 심화, 고령화 등을 효율적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국정운영체제가 필요하다.
즉, 국정최고지도자 직속의 未來(미래)전략(戰略) 기구 설치해 과학적이면서도 체계적인 未來(미래)예측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차원의 대처measure(방안) 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를 지방자치단체와 공유 및 공조할 수 있도록 각 부처에 未來(미래)전략(戰略) 실을 신설하거나 강화하고, 각 지방자치단체엔 未來(미래)전략(戰略) 기획부서를 신설 또는 강화 등의 measure(방안) 도 포함된다. 위원회는 국가정보국(DNI)의 지원 아래 정책 결정자들의 질문에 주요 답변을 제공하는 것을 core 임무로 한다.
세계적 變化(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未來(미래)예측에 대한 준비가 절실하고, 선진국 example(사례) 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국가未來(미래)전략(戰略) 추진체제에 대한 고찰이 절실하다는 說明(설명) 이다. ‘국가未來(미래)전략(戰略) 처’는 인하우스 싱크탱크 기능과 중장기 정책연구·기획 기능을 강화 역할을 맡게 된다. 또 국가의 전략(戰略) 적 역량을 제고하고 효율적인 정책을 전략(戰略) 을 개발하기 위해 각 부처를 지원한다. 무수한 사회적 갈등과 분열이 우리 국정의 발목을 잡는 결과를 초래했고, 빠른 環境(환경)의 變化(변화)에 대응하고 갈등과 분열을 해결하기 위한 국가적 대비와 국정운영 추진체제를 우리는 마련하지 못했다.
未來(미래)의 우리나라에 대한 국내외 도전들을 예측해 分析(분석)하고, 이를 정책으로 반영할 수 있는 국정운영추진체제 마련을 국가 어젠다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놓고 준비해야 한다는 說明(설명) 이다.
◇대통령 직속 ‘국가未來(미래)전략(戰略) 처’ 신설해야
지식기반사회로의 패러다임 變化(변화), 고령화 사회 도래, 기후 變化(변화)와 자연재해의 급증, 에너지부족과 자원 고갈 증대, 지역, 계층 간 격차 심화와 갈등 증대 등의 글로벌 環境(환경)變化(변화)와, 국가적으로는 남북분단의 위기, 주변강대국들의 견제와 도전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국내적으로는 사회 각 분야의 상호 연계성과 의존성이 증대하는 가운데 교육, 실업, 복지, 環境(환경) 문제 등의 project들이 난마처럼 얽혀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가미래정책포럼 창립 세미나]국가백년대계 미래예측에 달렸다
특히 긴급성보다는 중요성에 초점을 두고, 특정 문제에 관련된 팀별로 4∼6주간 프로젝트 단위로 운영된다.
미국과 영국을 비롯한 정보 선진국들은 오래 전부터 국가 未來(미래)전략(戰略) 연구와 체계적인 시행을 위해 각국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국가future 정책포럼 창립 세미나]국가백년대계 future 예측에 달렸다
◇선진국의 未來(미래)전략(戰略) 기구 example(사례) 는
다. 이를 위해 각 분야의 지식인들은 자각을 통해 네트워크화하고, 새로운 지식융합 운동과 새로운 未來(미래)정책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영국의 未來(미래)전략(戰略) 처가 총리 직속 기관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국가 최고 지도자인 대통력 직속의 범政府적 차원의 국가 未來(미래)전략(戰略) 기구가 설립돼야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이뤄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력한 구심점을 발휘할 수 있다고 김 원장은 역설한다. 국가 어젠다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놓고 준비해야 한다. 이후 각종 포럼등의 개최를 통해 국가 정책 수립을 위한 여론을 수립한다.
처음 이 반이다. 이에 대한 답을 김 원장은 영국, 미국, 핀란드 등에서 적용해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未來(미래)전략(戰略) 기구에서 찾는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오명 국가未來(미래)정책포럼 이사장이 ‘국가未來(미래)정책포럼의 未來(미래)선언문’을 채택, 발표했다.
우리는 그동안 과거와 현재의 문제와 해결에 함몰돼 未來(미래) 예측에 근거한 국가적 未來(미래) 비전의 마련과 이에 바탕을 둔 정책수립과 추진에 대한 관심을 소홀히 했다.설명
세계적 인재 한 사람이 수 만명을 멱여 살리는 지식기반사회에 세계 일류 수준의 각계 각층 지도자 전략(戰略) 가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한 전략(戰略) 을 제시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정책비전과 정책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未來(미래)예측을 통해 국가전략(戰略) 을 제시할 싱크탱크인 ‘국가未來(미래)정책포럼이 5일 출범했다. 국가와 국정 전체에 걸친 새로운 발상의 전환 없이는 우리에게 ‘또 다른 밝은 未來(미래)(another future)’는 보장되지 않는다.
레포트 > 기타
과거와는 달리, 현대는 未來(미래)사회로부터의 엄청난 속도의 變化(변화)와 도전으로 상상하기 어려운 국가 project를 제시하고 있다 또 그에 대한 해결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미 선진국들은 국가 未來(미래)정책의 중요성 인식과 더불어 이에 대비한 국정운영추진체제를 마련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국정운영에 활용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여기에 감사원이 청와대와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의 未來(미래)전략(戰略) 기능을 감사하고, 국회가 未來(미래)상임위원회를 신설해 국회의 未來(미래) 지향적 정책·예산 역량을 강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호보완적인 시스템을 가동해야 한다. 선진국들은 중장기적 국가未來(미래) 비전과 정책을 주기적으로 수립하고 국민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비전을 공유하게 함과 동시에 공무원들에 대한 未來(미래)예측교육을 필수화하고 있다
오명 국가未來(미래)정책포럼 이사장은 세미나 개회연설을 통해 “현대는 과거와는 달리 未來(미래)사회로부터의 엄청난 속도의 變化(변화)와 도전을 받고 있다”며 “새로운 국가 project에 대한 해결 능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가 유연성과 개방성을 바탕으로 未來(미래)와 글로벌을 향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위원회는 총리실에서 전문가 및 연구기관의 자문을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 국무회의의 승인을 거쳐 의회에 제출된다.
영국은 未來(미래)전략(戰略) 처(Prime Strategy Unit), 미국은 정보위원회(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핀란드는 未來(미래)상임위원회(Committee for the Future) 등을 설치하고, 국가 未來(미래)전략(戰略) 을 오래 전부터 제시해오고 있다
우리도 未來(미래)의 우리나라에 대한 국내외 도전들을 예측해 分析(분석)하고 이를 정책으로 반영할 수 있는 국정운영추진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이들 국가에 비해 우리가 늦긴 했지만 지금이라도 우리나라에 대한 국내외 도전들을 예측, 分析(분석)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국가未來(미래)전략(戰略) 처’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
[국가future 정책포럼 창립 세미나]국가백년대계 future 예측에 달렸다
Download : 071106110627_.jpg( 69 )
국가未來(미래)정책포럼 산하 국가未來(미래)정책연구원의 김성태 원장(성균관대 국정관리대학원장)은 현재 우리는 △속도의 충돌 △국가경쟁력 △未來(미래)사회變化(변화)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example(사례) 와 함께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고 역설했다. 선언문은 △국가 未來(미래)비전과 전략(戰略) 을 마련하고 펼칠 국정운영체제를 정립하자 △국가未來(미래)를 위한 지식인 네트워크 구축과 지식융합운동을 전개하자 △未來(미래)지향적 국가 사이버인프라를 구축하자 △未來(미래) 環境(환경)變化(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 위기관리체제를 구축하자 △친環境(환경), 친文化(문화)를 향한 인간중심 未來(미래)사회를 지향하자 △공공분야와 국민들의 未來(미래)예측과 未來(미래)전략(戰略) 역량을 강화하자 등 6가지다. 재경부, 국가정보원, 통계청, 중앙인사위원회 등 유관 부처를 포함해 외부 민간 싱크탱크를 활용해 未來(미래)예측 및 정책결정을 지원할 것도 함께 주문했다. 또 투철한 分析(분석)과 증거에 기반한 접근을 강조, 실행 가능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데 역점을 둔다.
순서
특히 동아시아·유럽·러시아 등 7개의 지역별 조직과 경제·군사·과학 등 6개 이슈별 조직으로 구성되어 전략(戰略) 적인 계획과 分析(분석) 및 보고서 생산의 효율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그 결과 우리는 짧은 기간 동안 부분적인 성공을 거뒀지만 未來(미래)와 글로벌을 향한 도전은 근본적인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최정훈·양종석기자@전자신문, jhchoi@
국가 未來(미래)정책의 중요성 인식에 따른 국정운영 추진체제를 마련하고, 이를 국정운영에 적극 활용하고 있는 선진국의 상황을 고려하면 결코 이르지 않다.
未來(미래)융합기술과 융합지식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사회 각 분야의 연계성과 상호작용성이 점점 높아지고 국가간의 벽이 허물어져 그 상호간의 influence(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오늘날의 국제적 상황은 국가전략(戰略) 수립에 있어서 未來(미래)예측에 대한 전문성과 통합적 안목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미국은 국가정보위원회(NIC:National Intelligence Council)를 중심으로 未來(미래)전략(戰略) 을 연구한다. 또 15년의 未來(미래) 장기전략(戰略) 을 다룬 보고서를 4년마다 정기적으로 발간하고 있으며,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영국은 스트래티지 유닛(Starategy Unit)을 중심으로 未來(미래)전략(戰略) 을 연구하고 있다 스트래티지 유닛은 총리의 국내 정책 우선순위에 따라 국가전략(戰略) 을 검토하고 정책 자문 역할을 한다.
[국가미래정책포럼 창립 세미나]국가백년대계 미래예측에 달렸다
우리는 이제 또 다른 未來(미래)를 향해야 한다. 이 추진체제를 중심으로 각 부처가 未來(미래)의 비전을 공유하고 정책들을 연계하고 조정할 수 있어야만 우리나라가 유연성과 개방성을 바탕으로 未來(미래)와 글로벌을 향해 나갈 수 있다는게 오 이사장의 주장이다. 국가 전체에 걸친 새로운 발상의 전환이 없이는 우리에게 밝은 未來(미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