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D (Video on Demand)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08:37본문
Download : VOD (Video on Demand).hwp
2. 필요한 장치
이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로 센터설비, 단말기, 전송로 등이 준비되어야 하는데 이 센터설비를 자동화하기 위한 장치를 비디오 서버라 한다.
VOD (Video on Demand) , VOD (Video on Demand)법학행정레포트 , VOD Video on Demand
VOD (Video on Demand)
설명
VOD,Video,on,Demand,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VOD (Video on Demand).hwp( 34 )
VOD (Video on Demand)
1. VOD(Video On Demand)의 定義(정이)
VOD란 영상정보(Video)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내용을 리얼타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서비스로 定義(정이)할 수 있다
즉, 가정에 설치한 단말기로 원하는 것을 신청하면 영상(음성)을 축적한 데이타베이스센터에 그 신호가 전달되고 센터에서는 요구된 내용을 검색하여 광대역 전송로를 통해 각 가定義(정이) 단말기로 보내는 시스템이다. 그저 리모콘으로 VOD Server에 연결된 TV나 PC를 켜고 원하는 Video를 선택하기만하면 2-3초안에 원하는 Video가 상영된다
② 같은 Video의 공유
만약 여러명의 사용자가 같은 Video의 시청을 원할 경우, 마치 LAN상에서 File이나 DB를 공유하는 것과 같이 Video내용물을 공유하여 여러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다른 장소, 시간에 시청할 수가 있다
③ Video Stream의 개별적 Control
각 사용자에게 서비스되는 Video Stream은 Server에서 각각 구별되어 서비스가 되므로, 기존의 CATV나 Pay TV System에서와 같이 이미 준비된(상연중인) Video나 방송의 중간 부분부터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각 사용자들이 원하는 Video를 처음부터 시청할 수가 있다
④ Play, Fast Forward…(투비컨티뉴드 )
_hwp_01.gif)
_hwp_02.gif)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VOD (Video on Demand)
다. 이것은 일종의 디지틀 라이브러리로서 디지틀화된 영상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비디오 및 영상물 저장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단말기는 이러한 센터설비와 제휴하여 VOD를 실현하는데 일반 PC나 STB(SetTopBox)를 부착한 TV를 사용할 수 있다
3. 특징
① 빠른 응답속도
VOD시스템에서는 더이상 Video를 빌리거나 돌려줄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