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i.co.kr 총괄적인 지역방언 자료(data) > omi2 | omi.co.kr report

총괄적인 지역방언 자료(data) > omi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mi2

총괄적인 지역방언 자료(data)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8 10:04

본문




Download : 총괄적인 지역방언 자료.hwp




그러나 요즘은 이와 같이 표준어에는 없는 그 지역만의 특수한 언어요소를 방언으로 지칭하지도 않으며, 방언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져 더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 보존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3. 한 나라 안의 지방적 차이가 있는 언어의 정의(定義)
당나라 왕유(王維)의 왕우승(王右丞) 시집에 기록된 ‘因人見風俗入鄕聞方言’에 의하면 각 지방의 언어에 차이가 있는데 이를 방언이라 하였다.방언의 여러 가지 개념과 특징, 방언과 표준어의 관계, 방언의 사회방언과 지역방언의 분화, 방언의 음운, 지역별(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제주도, 강원도) 방언의 특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총괄적인_지역방언자료 , 총괄적인 지역방언 자료인문사회레포트 ,

총괄적인 지역방언 자료(data)


레포트/인문사회


방언의 여러 가지 관념과 특징, 방언과 표준어의 관계, 방언의 사회방언과 지역방언의 분화, 방언의 음운, 지역별(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제주도, 강원도) 방언의 특징에 대해 정리(arrangement)했습니다. 이것은 같은 조어(祖語)를 가졌던 언어들…(省略)
지역방언의 관념과 특징 음운체계 등에 대해 조사한 자료(data)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다. 그리고 우리나라 삼국사기나 계림유사의 기록에도 china어를 의식하여 우리말을 지방어 즉 방언으로 인식하였음을 볼 수 있따 이러한 정의(定義)는 당시 china과 우리나라의 정치, 文化(문화)적 종속 관계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방언학은 방언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로 방언에 대한 정의(定義) 은 시대나 나라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定義)되어 왔다.순서
설명
총괄적인_지역방언자료(data)

Download : 총괄적인 지역방언 자료.hwp( 36 )




지역방언의 개념과 특징 음운체계 등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1. 한 나라의 국어를 의미하는 정의(定義)
옛날 china은 자기 나라를 중원(中原)이라고 자칭하고 주위의 동방, 서방, 남방, 북방 등지에 거주하고 있었던 다른 민족의 언어를 ‘지방언어’로 보았는데 이를 줄여 ‘방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방언이란 같은 계통의 언어에서만 상대적으로 성립되는 것이므로 우리말과 china어와 같은 서로 다른 언어 사이에서는 성립될 수 없다.
총괄적인%20지역방언%20자료_hwp_01.gif 총괄적인%20지역방언%20자료_hwp_02.gif 총괄적인%20지역방언%20자료_hwp_03.gif 총괄적인%20지역방언%20자료_hwp_04.gif 총괄적인%20지역방언%20자료_hwp_05.gif 총괄적인%20지역방언%20자료_hwp_06.gif




Ⅰ. 들어가는 말

Ⅱ. 방언의 정의(定義)
1. 한 나라의 국어를 의미하는 정의(定義)
2. 표준적인 언어 형식에서 이탈된 ‘사투리’라는 정의(定義)
3. 한 나라 안의 지방적 차이가 있는 언어의 정의(定義)
4. 표준어에 대한 상대적 정의(定義)
5. 의사소통과 국가를 기준으로 하는 정의(定義)

Ⅲ. 방언의 특징
1. 유지성
2. 혼합성
3. 통일성

Ⅳ. 방언과 표준어
1. 비표준어 정의(定義) 으로서의 방언
2. 언어의 하위정의(定義) 으로서의 방언
Ⅴ. 방언의 크기

Ⅵ. 방언의 분화
1. 지역방언(地域方言)
2. 사회방언(社會方言)

Ⅶ. 방언의 음운
1. 음운 체계
2. 음운 변이

Ⅷ. 지역별 방언의 특징
1. 방언의 지역 구분
1) 경상도 방언의 특징
2) 전라도 방언의 특징
3) 충청도 방언의 특징
4) 제주도 방언의 특징
5) 강원도 방언의 특징

Ⅸ. 경상북도 방언의 분류
1. 남부지역
2. 북부지역
3. 서북부지역

Ⅹ. 경상북도 방언 음운의 특징
1. 모음체계
2. 자음체계
3. 성조
4. 구개음화 현상
5. 움라우트 현상
6. 전설모음화 현상
7. 어두경음화 현상
8. e > i 현상
9.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가 합쳐질 때의 현상
10. 동사 어간과 어미 ‘-아’가 통합될 때의 음운현상
11. 기타

Ⅺ. 경상도 방언형(북도)
1~55

Ⅻ. 맺는말
※ 출처

어떤 시대 어떤 언어에도 방언이 없었던 일은 없으며 방언이 없다면 그것은 이미 살아 있는 언어일 수가 없다. 이러한 정의(定義) 으로 쓰인 것은 우리나라 고려 충렬왕조의 삼국유사나 조선시대 훈민정음 정인지 서문에도 기록되어 있따 또한 서양의 경우 희랍인들은 그들의 언어가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여 Ionia, Aeolia, Doria 지방의 언어를 모집하고 이를 방언이라 하였다.

2. 표준적인 언어 형식에서 이탈된 ‘사투리’라는 정의(定義)
이러한 경우는 중앙어에 대비하여 방언을 농민들이 사용하는 그 지역만의 특수한 말씨로, 품위가 떨어지거나 세련되지 않은 거친 언어 형식인 ‘무식한 말씨’, ‘시골 말씨’라는 정의(定義) 으로 얕잡아 보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전체 37,90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