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i.co.kr 강원도 사투리(방언) 연구data(자료) > omi2 | omi.co.kr report

강원도 사투리(방언) 연구data(자료) > omi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mi2

강원도 사투리(방언) 연구data(자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8 15:54

본문




Download : 강원도 사투리(방언) 연구자료.hwp






2) 음운현상
① 鼻母音化(비모음화) 현상
‘ㆁ’이 약화와 ‘ㄴ’의 약화를 예로 들 수 있따 ‘ㆁ’(ɧ)은 모음 사이에 있을 때는 자음으로서의 음가를 거의, 또는 완전히 잃고 대신 그 전후의 모음을 비모음으로 바꾼다는 점이다.
삼추이(삼촌이) 있으믄...
도이(돈이) 마이(많이) 든다고요.
운제 소이로(손으로) 긁을 새 있소?

② 어간말 자음군…(생략(省略))











강원도 사투리(방언) 연구data(자료)
전반적인 방언의 characteristic(특성)을 살펴보고, 표준어와 유사성이 많은 강원도 방언의 characteristic(특성)에 대해 영동과 영서지방으로 나누어 조사한 data(자료)입니다. 즉 성조와 음장이 모두 어의를 분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따 영동방언은 고조와 저조의 대립을 가지며 동시에 장음과 단음의 대립을 가지는데 여기서 고조와 장음을 음운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

다. !~강원도사투리연구 , 강원도 사투리(방언) 연구자료인문사회레포트 ,



강원도사투리연구

순서

Download : 강원도 사투리(방언) 연구자료.hwp( 24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Ⅰ. 서론

Ⅱ. 본론

1. 국어 방언권의 구획

2. 강원도 방언의 이해
2-1. 강원도의 개관
2-2. 강원도 방언권의 정의(定義)
2-3. 강원도 방언권의 구획

3. 강원도 방언의 특징 analysis(분석)
3-1. 음운적 특징
3-2. 문법적 특징

Ⅲ. 結論

④ 성조와 음장
영동방언은 음운으로서 상기한 자음, 모음 이외에 운소를 더 가지고 있따 성조와 음장이 그것이다. 여러모로 활용이 되길 바랍니다. 가령 ‘마뎅이’(마당질. 타작)의 ‘ㆁ’는 그 본래의 음값을 들을 수 없어, ‘마데이’라고 적기 쉬운, 그러면서도 ‘마데이’와 ‘마뎅이’의 중간 소리라고 말하게 되는 소리로 실현된다
‘ㄴ’이 모음 조사 앞에서 그 음가를 잃고, 그 전후의 모음에 비음의 요소를 남기는 것이다. report 잘 제출하시고, 좋은 성적 거두시길 바랍니다. 강원도%20사투리(방언)%20연구자료_hwp_01.gif 강원도%20사투리(방언)%20연구자료_hwp_02.gif 강원도%20사투리(방언)%20연구자료_hwp_03.gif 강원도%20사투리(방언)%20연구자료_hwp_04.gif 강원도%20사투리(방언)%20연구자료_hwp_05.gif 강원도%20사투리(방언)%20연구자료_hwp_06.gif

설명
전반적인 방언의 특성을 살펴보고, 표준어와 유사성이 많은 강원도 방언의 특성에 대해 영동과 영서지방으로 나누어 조사한 자료입니다. 레포트 잘 제출하시고, 좋은 성적 거두시길 바랍니다. 영동방언에서의 성조의 음운론적 대립은 제일음절에 국한하는 듯하며 또 장음, 단음 역시 제일음절의 모음의 길이를 뜻한다. 여러모로 활용이 되길 바랍니다.
전체 37,90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