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i.co.kr [歷史] 4.3 사건과 여수반란 사건에 대해 논평 > omi2 | omi.co.kr report

[歷史] 4.3 사건과 여수반란 사건에 대해 논평 > omi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mi2

[歷史] 4.3 사건과 여수반란 사건에 대해 논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20:57

본문




Download : 43사건과여수반란사건.hwp




또한 이 사건으로 인하여 제주에서는 5·10선거를 치르지 못하였다. 비록 이 사건은 발발 1년 만인 1949년 5월 일단 종결되었으나, 봉기의 여파로 인한 완전진압은 6·25전쟁을 거쳐 1954년에 가서야 가능하였다


4.3사건과 여수 반란사건에 대한 종합적인 내용과 논평이 담겨져 있습니다.
본문




여순사건, 여순반란사건, 여수 14연대 반란사건, 여순봉기, 여순항쟁, 여순군란이라고도 부른다.

Download : 43사건과여수반란사건.hwp( 54 )


구체적내용




미군정기에 제주도에서 발생한 제주4·3사건은

2. 여수·순천사건 [麗水順天事件]
<중략>
이에 미군정청은 경찰병력을 제주에 투입하여 이를 진압하려 하였으나, 사태가 더욱 악화되자 군을 투입하여 제주도 전체를 초토화시켰다. 그 과정에서 약 9만 명의 이재민과 엄청난 재산피해·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여수순천사건, 4.3사건, 논평, 반란사건, 14연대 반란사건

43사건과여수반란사건-3321_01.gif 43사건과여수반란사건-3321_02_.gif 43사건과여수반란사건-3321_03_.gif 43사건과여수반란사건-3321_04_.gif 43사건과여수반란사건-3321_05_.gif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누가 국방군 제14연대 좌익계열의 일부 군인들이
어디서 전남 여수·순천에서


무엇을 반란을



다.순서


언제 1948년 10월 19일
설명
요약



4.3사건과 여수 반란사건에 대한 종합적인 내용과 논평이 담겨져 있습니다. 제주4·3사건과 함께 해방정국의 소용돌이 속에서 좌익과 우익의 대립으로 빚어진 민족사의 비극적 사건이다. 1. 4.3사건 구체적내용 2. 여수·순천사건 [麗水順天事件]



왜 제주도 4·3사건 진압출동을 거부하고 대한민국 단독정부를 저지하려고


어떻게 무장봉기하여
1948년 10월 19일 전라남도 여수에 주둔하고 있던 국방경비대 제14연대에 소속의 일부 군인들이 일으킨 사건.
1. 4.3사건 구체적내용

4.3사건이란? 1948년 4월 3일 제주도 전역에서 일어난 민중봉기 사건.

[歷史] 4.3 사건과 여수반란 사건에 대해 논평



8·15광복 직후의 혼란기를 틈타 남조선노동당은 제주에 지하조직을 구축하기 처음 하였으며, 제주인민해방군은 일본군이 숨겨놓은 무기와 화약을 찾아내어 무장을 하고 유격전 훈련을 하고 있었다. 이승만 정부는 이 사건을 계기로 국가보안법을 제정하고 강력한 반공국가를 구축하였다. 한편, 남한만의 단독선거에 반대투쟁을 벌이던 제주도민에 대한 경찰 및 우익단체의 무差別(차별) 한 테러가 극심하여 도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북 출신의 경찰관들이 제주에 파견되자 이를 계기로 좌익세력은 남한만의 단독선거·단독정부 반대, 반미·반경찰·반서북청년단 등의 구호를 외치며 민중봉기를 주도하며, 유격전을 벌이기 처음 하였다. 흔히 여순반란사건이라고 하였으나 해당 지역 주민들이 반란의 주체라고 오인할 소지가 있다고 하여 1995년부터는 `여수·순천사건` 또는 `여수·순천 10·19사건`이라고 사용한다.
전체 37,90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