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대수학] 내용정리(arrangement) / 대수학 1. 유한군 G의 위수가 짝수이면 ①인 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2:19본문
Download : [현대대수학] 내용정리.hwp
대수학 1. 유한군 G의 위수가 짝수이면 ①인 가 G에 존재한다.
①인 가 G에 존재한다.‡. 가 이면 를 군의 멱등원(idempotent)이라 한다.
현대대수학 내용정리 대수학 1. 유한군 G의 위수가 짝수이면 ①인 가
(2) H는 G의 연산에 대하여 닫혀있고, G의 항등원 e가 H에 있으며, 각 에 대하여 이다.Ԡ. 군 G가 a로 생성된 무한순환군이면 a의 모든 멱은 다르다..
ԥ. 가 홀수 길이의 순환이면 도 같은 길의의 순환이다.
다.Ԧ. ① 인 군 G의 부분군 H는 정규부분군이다.
① 은 비가환군이다.Ԟ. 순환군의 상군은 순환군이다.
설명
대수학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 n이 홀수일 때 위수 2n을 갖는 가환군 G는 위수가 2인 원소를 단 하나 갖는다.
① 모든 에 대하여 이다.Ԣ. 위수 n인 유한순환군 G에 대하여 m이 n의 약수이면 방정식 은 G에서 정확히 m개의 해를 갖는다.
③ 모든 에 대하여 를 만족하는 의 원소는 (1)뿐이다.
†. 가환군 G에서 각 자연수 n에 대하여 은 G의 부분군이다.
ˆ. G를 군, H를 G의 비자명부분집합이라 할 때 다음 세 명제는 서로 동치이다.…. 가 군 G의 위수가 2인 유일한 원소이면
Download : [현대대수학] 내용정리.hwp( 24 )
[현대대수학] 내용정리(arrangement) / 대수학 1. 유한군 G의 위수가 짝수이면 ①인 가
② 이다.‹. 순환군의 부분군은 순환군이다.
Ԥ. 이면
② 이다.
③ 위수기 2인 부분군이 존재한다.ԟ. 비자명진부분군이 없는 군은 순환군이다.ԣ. 유한군 G가 각 자연수 m에 마주향하여 의 해를 많아야 m개 가지면 순환군이다.
ԧ. 동형에 관계없이 위수360인 가환군을 분류하시오.Ԩ....
(1) H는 G의 부분집합이다.
대수학 1. 유한군 G의 위수가 짝수이면 ①인 가 G에 존재한다.
순서
‰. 군 G의 중심 는 G의 가환인 정규부분군이다.ԡ. 무한순환군 G는 와 동형이다.
Š. 순환군은 가환군이다. ② 위...
② 위수가 2인 원소가 존재한다.
ƒ. 유한군 G의 위수가 짝수이면
④ 비자명부분군이 존재한다.
(3) 모든 에 대하여, 이다.
![[현대대수학] 내용정리-1176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D%98%84%EB%8C%80%EB%8C%80%EC%88%98%ED%95%99%5D%20%EB%82%B4%EC%9A%A9%EC%A0%95%EB%A6%AC-1176_01.gif)
![[현대대수학] 내용정리-1176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D%98%84%EB%8C%80%EB%8C%80%EC%88%98%ED%95%99%5D%20%EB%82%B4%EC%9A%A9%EC%A0%95%EB%A6%AC-1176_02_.gif)
![[현대대수학] 내용정리-1176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D%98%84%EB%8C%80%EB%8C%80%EC%88%98%ED%95%99%5D%20%EB%82%B4%EC%9A%A9%EC%A0%95%EB%A6%AC-1176_03_.gif)
![[현대대수학] 내용정리-1176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D%98%84%EB%8C%80%EB%8C%80%EC%88%98%ED%95%99%5D%20%EB%82%B4%EC%9A%A9%EC%A0%95%EB%A6%AC-1176_04_.gif)
![[현대대수학] 내용정리-1176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D%98%84%EB%8C%80%EB%8C%80%EC%88%98%ED%95%99%5D%20%EB%82%B4%EC%9A%A9%EC%A0%95%EB%A6%AC-1176_05_.gif)
② H가 유한군 G의 절반의 원소를 갖는 부분군이라면 H가 G의 정규부분군이다. ② 위...
군 에는 멱등원이 유일하게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