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식 나박김치 구절판 화전 만들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15:44본문
Download : 약식 나박김치 구절판 화전 만들기.hwp
약식나박김치구절판화전만들기 , 약식 나박김치 구절판 화전 만들기생활전문레포트 ,
약식 나박김치 구절판 화전 만들기
순서
다. …(skip)
레포트/생활전문
Download : 약식 나박김치 구절판 화전 만들기.hwp( 64 )





,생활전문,레포트
약식 나박김치 구절판 화전 만들기에 대한 글입니다.약식나박김치구절판화전만들기
설명
약식 나박김치 구절판 화전 만들기에 대한 글입니다.
식용색소로 색을 낼 때는 색깔은 거의 느껴지지않을 정도로 반죽을 해야한다.익으면 색이 진해지므로.반죽할 때 물은 금방 빻은 쌀가루의 경우 1C에 1T 정도가 적당하지만 쌀의 상태에 따라 가감해야한다.
화전은 꽃지짐으로 계절감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독특한 떡으로 봄에는 진달래꽃, 여름에는 황장미꽃 ,맨드라미꽃, 가을에는 황국,감국잎을 사용하여 예쁘게 만듭니다.
지질 때는 팬에 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먼저 뒷쪽을 3분의 2쯤 익히고 뒤집어서 익힌다. 그 밖에 계절에 따라 개나리나 장미 등을 쓰기도 한다.
화전은 1611년 《도문대작(屠門大爵)》에서 `전화법`, `유전병`으로 처음 기록되었으며 1670년 《음식지미방(飮食知味方)》에도 `전화법(煎花法)`이라 기록되어 있습니다. 삼짇날에는 진달래전을, 중구날에는 국화전을 만들어 먹는다. 숟가락을 정교히 간결하게 한번에 원형을 돌려야 이쁘게 된다
4) 화전
꽃을 부쳐 만든 부꾸미. 찹쌀가루를 물에 개어 둥글납작하게 만든 뒤 기름을 두른 번철에 지진다.
1) 약식
2) 나박김치
3) 구절판
4) 화전
밀전병 부치기 : 계란 흰자를 1개 넣어야 후라이팬에 눌어붙지 않는다.이때 쑥갓 등이 타지않도록 주의.익으면 시럽에 담갔다가 꺼내는데 이때 시럽물이 너무 흥건히 묻으면 굳었을 때 모양이 좋지않으므로 잠시 전을 들어올려 시럽물이 빠지도록 한 뒤에 접시에 담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