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적 교육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14:57
본문
Download : 잠재적 교육과정.hwp
⑵ 학생들의 태도, 가치관, 신념의 형성과 관련된 교육과정이다.
⑷ 교사의 정의(定義)적 행동, 인격적 감화, 도의적?인격적 품위가 큰 影響(영향)을 준다.
② 예: Hopi족의 기우제 ⇒ 부족의 단결심과, 공동체 의식, 민심수습
3. 특징
⑴ 교사와 학생 간의 인간관계에 의해 학습이 이루어진다. , 잠재적 교육과정사범교육레포트 , 잠재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순서]
1. concept(개념)
2. 발생동기
3. 특징
4. 잠재적 교육과정과 표면적 교육과정의(定義) 비교
5. 필립 잭슨의 아동의 교실생활
6. 잠재적 교육과정의(定義) 影響(영향)력
7. 한국초등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
8. 아홉 가지 개선의 전술
1. concept(개념)
⑴ 학교에서 계획한 바 없으나 학교의 물리적 조건, 제도, 행정조직, 사회적, 심리적 상황을 통하여 학생들이 은연중(隱然中)에 가지게 되는 경험의 총체
⑵ 학교교육을 통하여 가지게 되는 경험 중에서 표면적 교육과정을 제외한 학교의 전 경험과 관련이 있으며 학교의 전 사태와 관련이 있다아
2. 발생동기
⑴ 학교의 역기능을 표면화시켜 학교의 순기능을 확대?강화시키려는 교육적 노력
⑵ 학교교육의 인간교육 실패에 대한 각성을 통해 교육제도 속의 비인간적 요소를 分析하여 바로 잡으려 노력
⑶ R. Merton이 호피(Hopi)족의 기우제를 관찰하여 표면적 기능과 잠재적 기능을 분류한데서 由來
① 그는 사회제도의 적응에 관련되지 않았던 결과를 잠재적 기능이라고 불렸다.
⑸ 사회적?정의(定義)적 발달에 影響(영향)을 준다.
Download : 잠재적 교육과정.hwp( 47 )
레포트/사범교육
순서
잠재적,교육과정,사범교육,레포트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잠재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4. 잠재적 교육과정과 표면적 교육과정의(定義) 비교
구 분
표면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조 직 성
학교의 의도적인 조직 및 지도
학교생활에서 무의도적 학습
영 역
주로 지적 영역
주로 정의(定義)적 영역
학습경험
교과와 관련
학교의 文化(문화)적 풍토
기 간
단기·일시학습
장기·반복적·항구적
원 인
교사의 지적·기능적 影響(영향)
인격적 감화
내 …(省略)
설명
다.
⑶ environment(환경) 의 影響(영향)으로 은연중에 가지게 된 경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