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i.co.kr [경영,경제] 한국과 중국(China) 경제교류 10년 성과와 과제 > omi1 | omi.co.kr report

[경영,경제] 한국과 중국(China) 경제교류 10년 성과와 과제 > omi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mi1

[경영,경제] 한국과 중국(China) 경제교류 10년 성과와 과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06:56

본문




Download : [경영,경제] 한국과 중국 경제교류.hwp




1992년에 중국(中國)은 미국, 日本(일본), 홍콩, 독일에 이어 한국의 교역상대국 제5위였으나 2001년에는 홍콩, 독일을 제치고 3위로 뛰어올랐다.
2. 전기전자가 최대 교역품목으로 부상





1992년 수교 이후 양국 간 교역은 양적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MTI 1단위의 상품군을 대상으로 간단히 살펴보자. 한국의 대중수출의 경우 1992년에는 철강금속이 1위로 전체 수출의 32.3%를 차지하고 있었다. 1998년에는 외환위기의 여파로 교역이 급감했지만 1년만에 외환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수출만 볼 경우 2001년 日本(일본)을 제치고 한국의 제2의 수출대상국으로 부상해 주목을 끌었다. 1992년에 중국(中國)은 한국 전체 수출의 3.5%, 수입의 4.6%를 차지하고 있었다. 19.4%의 연평균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교역규모가 10년 사이에 5배로 늘어난 것이다.

양국간 교역의 급속한 확대로 각자의 대외무역에서 상대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크게 높아졌다.

Download : [경영,경제] 한국과 중국 경제교류.hwp( 77 )



[경영,경제] 한국과 중국 경제교류-1110_01.jpg [경영,경제] 한국과 중국 경제교류-1110_02_.jpg [경영,경제] 한국과 중국 경제교류-1110_03_.jpg [경영,경제] 한국과 중국 경제교류-1110_04_.jpg list_blank_.png


다. 1992년 63.8억 달러에 불과했던 연간 무역액은 2001년에는 314.9억 달러로 증가했다. 중국(中國)의 전체 수출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10년간 2.9%에서 4.7%로,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에서 9.6%로 크게 늘었다. 19.4%의 연平均(평균)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교역규모가 10년 사이에 5배로 늘어난 것이다.


[경영,경제] 한국과 중국 경제교류 10년 성과와 과제

순서


지난 10년 동안 한중 교역의 상품별 구조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1992년 63.8억 달러에 불과했던 연간 무역액은 2001년에는 314.9억 달러로 증가했다.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경영,경제] 한국과 중국(China) 경제교류 10년 성과와 과제


또한 중국(中國)의 입장에서도 한국은 매우 중요한 교역상대국이 되었다. 대중 수출은 연average(평균) 23.9%의 성장세를 기록, 대중 수입의 연average(평균) 증가율(15.2%)을 크게 앞질렀다. 중국(中國)과 홍콩의 특수한 관계를 감안한다면 한국은 사실상 중국(中國)의 3대 교역국으로 부상한 것이다.
1992년 수교 이후 양국 간 교역은 양적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1998년에는 외환위기의 여파로 교역이 급감했지만 1년만에 외환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그리고 한국의 對중국(中國) 수출이 한국의 對중국(中國) 수입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92년에 한국은 중국(中國)의 7대 교역상대국이었으나 2001년에는 4대 교역상대국으로 지위가 격상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중 무역수지도 92년에 적자이던 것이 93년부터 흑자로 돌아섰으며 이후 흑자폭은 계속 확대되는 추세를 나타내 지난해에는 48.9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그 비중이 2001년에는 각각 12.9%, 9.4%로 껑충 뛰었다.
전체 37,90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