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i.co.kr [A+] 6대 기간산업 10년후 수출, 1174억 달러 > omi1 | omi.co.kr report

[A+] 6대 기간산업 10년후 수출, 1174억 달러 > omi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mi1

[A+] 6대 기간산업 10년후 수출, 1174억 달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6:40

본문




Download : 2003052.jpg




<주문정기자 mjjoo@etnews.co.kr>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다.
레포트 > 기타

Download : 2003052.jpg( 73 )



 기계·플랜트, 자동차, 조선, 철강, 석유화학, 섬유패션 등 6대 주력기간산업은 진입·성장기를 거쳐 성숙기에 접어들어 점차 제품차별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조선산업=안으로는 안정적인 노사관계를 유지하고 밖으로는 조선통상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경우 명실상부한 세계 1위 산업분야다.
순서
설명

6대 기간산업 10년후 수출, 1174억 달러


6대 기간산업 10년후 수출, 1174억 달러

 ◇석유화학산업=석유화학산업은 양적으로 세계 4위의 생산능력을 보유한 산업으로 성장했으나 구조조정 부진으로 규모의 경쟁력이 선진국에 비해 떨어지고 China·중동 등 경쟁국의 추격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형화·전文化(문화) 등 자율적 구조조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원가절감 및 기술파급 효율가 큰 신촉매·環境(환경)친화형 공정기술과 기존 범용제품의 업그레이드 및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소재 등의 발굴이 시급하다. 또 이를 위해 부품·소재 분야의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마케팅을 강화해 질적성장을 추구하고 IT·BT·NT 등 신기술 접목을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 나가기로 했다.
6대 기간산업 10년후 수출, 1174억 달러

 산자부는 政府와 기업이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등에 역량을 집중할 경우 10년후 주력기간산업의 수출규모는 1174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展望(전망) 했다. 26일 산업자원부가 제시한 6대 주력기간산업(17개 품목)은 그동안 우리나라 경제를 지탱해 온 대표적인 전통산업임과 동시에 10년후에 우리나라를 먹여살릴 기둥이다. 한편 개발단계에 있는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상용화를 촉진해 기반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관련 the gist부품을 중장기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6대 기간산업 10년후 수출, 1174억 달러

 ◇철강산업=철강산업은 경쟁대체재 대비 강인성·가공성·안전성 등에서 탁월한 우월성을 가지고 있어 향후에도 자동차, 조선 등 수요 산업과 함께 지속 성장할 展望(전망) 이다. 차세대 성장동력원으로는 대형컨테이너선·LNG운반선 등 고부가가치선박과 초대형 해양부체 구조물, 디지털 기반 조선 콘텐츠가 꼽혔다. 차세대 성장동력원으로 생활밀착형 소재와 대형구조물용 첨단신소재 등이 선정됐다. 더욱이 주력기간산업은 GDP의 11%를 차지하는 등 산업화 시대의 성장을 주도하는가 하면 우리나라 총수출의 34%를 차지, 수출의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아 따라서 이 기간산업은 향후 10년 후에도 현재의 시長點유율을 유지하거나 높여 나감으로써 우리 경제의 강력한 성장동력을 제공할 것이라는 게 산자부의 해석이다.


 ◇기계·플랜트 산업=기계·플랜트산업은 성장기에 진입해 해외시장에서 국산기계와 설비수요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아 시스템·엔지니어링 기술이 제고될 경우 기계류의 무역수지 흑자기조 정착 및 플랜트 수출확대가 예상된다.

 ◇자동차 산업=자동차 산업은 세계적인 環境(환경)규제 강화와 자동차의 수요 및 기술발전 추세 등을 반영해 ‘지능형 연료전지자동차’가 차세대 성장동력원으로 선정됐다.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e머신, 산업용 로봇 등 디지털 제조시스템 △기계플랜트 설비 및 장비 △나노공정장비 등 차세대 첨단기계 및 스마트모듈 등이 선정됐다.




 ◇섬유·패션산업=섬유·패션 산업은 최근 16년간 꾸준히 100억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산업으로 산업용섬유, 기능성 염색, 패션디자인 분야(나노섬유, 패션의류, 스포츠섬유, 기능성 섬유 등이 주력품목으로 등장)의 발전가능성이 높다.
전체 37,90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