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기질론에서 본 인간의 고유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15:05본문
Download : 영기질론에서 본 인간의 고유성_148146.hwp
정산도 개령과 대령을 통하여 영원불멸의 대령은 육체의 죽음과 관계없이 항존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또한 인간은 결코 신이 될 수 없는 한계 또한 가지고있다고 주장한다. 마테오 리치는 리기론에서 말하는 육체가 멸하면 정신도 흩어진다는 것을 비판하기 위해서 육체와 상관없는 영혼의 불멸을 주장하고, 이것을 통하여 다시 사람은 동물로 윤회할 수 있다는 불교의 윤회를 비판하였다면, 정산은 개령의 윤회를 인정하기 위해서 리기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따
3ȫ대ȫ령은 분별지각이 나타나지 않은 마음이라고 볼 수 있따 따라서 분별지, 지각, 자의식으로 나타난 소아로서의 개령을 대령에 합하려는 노력으로 정신의 진화를 할 수 있는 것이 인간이 가지는 고유함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2. 영기질론은 사대로 흩어지는 육신과는 달리 영의 불멸성을 이야기함으로써 마테오 리치와 서로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마테오 리치는 ... , 영기질론에서 본 인간의 고유성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영기질론에서 본 인간의 고유성_148146.hwp( 55 )
2. 영기질론은 사대로 흩어지는 육신과는 달리 영의 불멸성을 이야기함으로써 마테오 리치와 서로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따 그러나 마테오 리치는 사람은 동물・식물과는 같을 수 없는 고유함을 신으로부터 부여받았기에 동・식물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는 인간의 권위를 이야기하였다. 그러나 개령의 윤회를 이야기하고 이 윤회의 범위에 동물까지 포함하였다는 것은 영혼의 불멸에 대한 출발이 마테오 리치와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인간이 대령에 합일하는 것은 꼭 죽어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살아서도 수행의 힘…(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영기질론에서 본 인간의 고유성
레포트/인문사회






2. 영기질론은 사대로 흩어지는 육신과는 달리 영의 불멸성을 이야기함으로써 마테오 리치와 서로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다아 그러나 마테오 리치는 ...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