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학에서 보는 지상선경세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2 17:34
본문
Download : 미래학에서 보는 지상선경세계.hwp
토마스 모어가 [유토피아]를 썼던 16세기의 꿈은 하루 10시간의 노동을 하는 것이었다. 지난 50년 동안 일어 났던 모든 것이 환상적이며, 앞으로도 그러하리라고 가정함으로써 우리는 유토피아를 그려 볼 수 있는 희망을 가질것이다. 산업혁명이 가져다 준 경제성장의 결과인 지금의 후생 복...
순서






미래학에서 보는 지상선경세계
Download : 미래학에서 보는 지상선경세계.hwp( 59 )
,경영경제,레포트
다. 산업혁명이 가져다 준 경제성장의 결과인 지금의 후생 복지수준은 16세기나 19세기의 순으로 볼 때 유토피아의 완성이라 할 수 있다아 마찬가지로 20세기 말의 우리들은 the twenty-first century에는 기술에 의한 유토피아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아
future(미래)예측에 가장 많이 쓰이는 데파이법을 개발한 올라프 핼머는 [future(미래)연구의 논제](1959)에서 유토피아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아
유토피아에 대한 설명(說明)이 주어져 있고 이것을 단지 추정할 뿐이지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가공적 future(미래)상이라고 생각할 때 현실세계를 건설적으로 이끌어 점차 이상향에 근사해질 수 있도록 하는 의미에서, 현실적이거나 적어도 그럴듯한 시나리오가 존재할 수 있는가?
시나리오란 일종의 future(미래)history(역사) 로서 future(미래)의 어떤 상태(유토피아)에로 귀착할 잠재적인 전개과정을 말로 서술하는 것이다. 그러나…(省略)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토마스 모어가 [유토피아]를 썼던 16세기의 꿈은 하루 10시간의 노동을 하는 것이었다.
최근 history(역사) 적 단면에서 얻을 수 있는 수 많은 교훈중 하나는 theory(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것은 그것이 필요하기만 하면 아무리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해도 실용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1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0) 아더 C.클라크, `예언의 위험`, 애빈 토플러 엮음, [future(미래)학이란 무엇인가], 종로서적, 1982, p.145
상상력의 빈곤을 벗어나, 풍부한 예감과 상상력에 의한 유토피아의 모습은 과학자나 future(미래)예언가에 의해서 보다는 종교의 창시자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전에 먼저 어떠한 유토피아의 모습을 인류의 이상으로 그려 볼 수 있는가가 전제되어야 한다. 산업혁명이 가져다 준 경제성장의 결과인 지금의 후생 복... , 미래학에서 보는 지상선경세계경영경제레포트 ,
토마스 모어가 [유토피아]를 썼던 16세기의 꿈은 하루 10시간의 노동을 하는 것이었다. 어떠한 future(미래)에 상대하여도 `그 생각은 환상적이다`라고 해서는 안된다 환상이라는 것은 예감과 상상력의 빈곤에서 나타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