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government 조달 시장 잡아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8:20
본문
Download : 0207.gif
또 2008년 베이징올림픽, 서부대개발 등에 투입돼야 하는 통신설비, 발전기기, 송배전장치 등의 국제 입찰도 확대될 展望이다.
Download : 0207.gif( 61 )





中 정부조달 시장 잡아라
지난해 china(중국) 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에 따른 합의사항 이행 등을 위해 지난달말 제정된 신조달법은 자국상품 우선구매를 규정하고 있따 하지만 china(중국) 진출 현지법인을 중심으로 외국업체에도 점차 시장이 개방될 展望이다.
B2B 전자상거래를 통한 china(중국) 정부의 조달규모도 지난해 약 42억위안을 기록, 전체 정부조달의 6.6%를 차지했다.
25일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가 발표한 ‘china(중국) 정부조달법 제정이 의미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통신기기, 생명공학장비, 항공우주설비 등 자국내 획득이 어려운 첨단기기 분야는 활발한 해외구매가 예상된다.
레포트 > 기타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
中 government 조달 시장 잡아라
무역협회 양평섭 연구위원은 “MS사의 경우 향후 3년간 63억위안을 투자, china(중국) 내 11개 SW산업단지에 연구개발센터를 설치키로 china(중국) 당국과 최근 양해각서를 교환하는 등 SW분야 정부조달 시장 선점작업을 추진중”이라며 “우리 기업들도 현지 생산·개발 및 기술이전 등을 통해 시장 참여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작년 china(중국) 정부의 SW구입액은 40억위안. 이는 china(중국) 전체 SW시장의 14.1%에 해당한다.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
中 government 조달 시장 잡아라
순서
최근 china(중국) 의 신규 정부조달법 제정을 계기로 china(중국) 내 정부조달시장이 신흥 IT수요처로 급부상하고 있따
특히 올연말까지 350억위안이 투입되는 전자정부 관련 解法(솔루션) 및 SW시장은 가장 급속한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다. 이는 china(중국) 전체 B2B시장의 3.9%에 달하는 액수다.
특히 IT제품의 경우 china(중국) 의 전자정부화를 비롯해 베이징올림픽·서부대개발 등 대형 국책사업에 투입돼야 할 각종 解法(솔루션) 및 소프트웨어(SW)와 첨단통신기기 등에 대한 공공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기대된다. 당장 내년 1월1일부터 신조달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공공SW 구매에만 85억위안이 투입된다.
中 정부조달 시장 잡아라
설명
다. 현재 china(중국) 은 중앙정부는 물론 각 지방정부도 ‘차이나비딩’ 등 조달 전문 사이트를 운영중이며 해당 사이트에는 관련 정책, 법규, 해당물자 등이 공개돼 있따
한편 올해 china(중국) 의 정부조달시장 전체규모는 1000억위안(120억달러)이며, 이번 신조달법 제정을 계기로 향후 5년내 이 규모는 현재의 10배에 달할 展望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