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산업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06:16
본문
Download : 북한의 산업구조.hwp
레포트/경영경제
북한의 공업화 과정의 조건과 특징, 산업입지와 사회간접자본에 대해 정리한 자료입니다.
다.북한의산업구조 , 북한의 산업구조경영경제레포트 ,
북한의 산업구조






북한의산업구조
설명
북한의 공업화 과정의(定義) 조건과 특징
1. 공업화과정의(定義) 스타트과 초기조건
2. 공업화의 특징
3. 북한의 공업화 과정
북한의 산업입지와 사회간접자본
1. 북한의 산업입지 상황
2. 지역별/부문별 산업입지 분포
(4) 항만
○ 북한의 해상운송은 가장 낙후된 운송수단이다
- 화물수송의 약 3%, 여객수송의 약 1%를 담당
○ 해상운송이 낙후된 이유
i) 동·서해안의 분리
ii) 폐쇄적 정책으로 대외무역의 규모가 작고
주요 교역대상국인 china(중국) 과 러시아 등과 육상운송이 가능하기 때문
○ 북한에는 현재 8개 무역항과 30여개의 어항이 있다
○ 북한의 무역항
i) 나진항 : 부동항, 러시아 화물의 중계무역항으로 이용
ii) 선봉항 : 최북단에 위치한 원유전용항
iii) 청진항 : 1991년 나진, 선봉이 자유경제무역지대로 지정되면서
자유무역항으로 지정
iv) 흥남항 : 함흥공업지구의 관문항
v) 원산항 : 군항을 1976년 무역항으로 개항, 상업항으로 미 발달
vi) 남포항 : 평양의 관문항, china(중국) 의 청도, 천진 등과 연결되는 무역항
vii) 해주항 : 최남단 서해항, 1973년 시멘트 전용 항으로 개…(To be continued )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북한의 산업구조.hwp( 65 )
북한의 공업화 과定義(정의) 조건과 특징, 산업입지와 사회간접자본에 대해 정리한 reference(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