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생활environ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19:25
본문
Download : 인간과 생활환경.hwp
인간과생활환경 , 인간과 생활환경공학기술레포트 ,






컴퓨터와 인간, 개펄과 인간 등 인간과 생활environment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다.
Download : 인간과 생활환경.hwp( 71 )
인간과 생활environment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3. 개펄과 인간 생활
우리나라 개펄의 총면적은 국토의 2.4%에 해당하는 2천3백93㎢.이 가운데 83%가 서해안에 분포돼 있고 나머지는 남해안에 산재해 있다 특히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해안선의 굴곡이 심한 서 해안의 개펄은 캐나다 동부해안,미국 동부해안,북해연안,아마존 유역과 더불어 세계 5대 개펄로 꼽힌다.
그러나 개펄이 위기 상황을 맞고 있다.농지확보·수자원개발·공업단지 조성 등을 위한 무분별한 간척 매립으로 개펄 면적이 급속도로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가 지난해 발표한 ‘우리나라의 개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87년 이후 10년간 시화지구·새만금지구·영종도신공항 등 주 요 간척·매립사업으로 상실된 개펄 면적이 전체 개펄 면적의 30% 에 달하는 8백 10.5㎢로 추정됐다.
8백 38.5㎢를 보유하고 있는 경기·인천의 경우 시화지구·영종도 신공항·송도신도시매립지 조성 등으로 3백 41㎢의 개펄이 사라졌고, 서산지구 석문·대호 방조제 등 대규모 간척사업이 진행된 충청남도는 3백 4.2㎢의 개펄 중 3분의 2인 1백 98.7㎢가 훼손됐다. 또 전라북도는 세계 최대 규모의 새만금 간척사업으로 전체의 90% 가 매립될 운명에 처했고, 전체 개펄 면적이 1천5백 4.1㎢에 달하는 전라남도는 영산강 간척사업 등으로 1백 25㎢가 파괴됐다.
여기에다 경기 화옹지구,충남 신진지구,전남 금호 방조제,경남 신호 지구 등 매립 공사중인 면적이 8백 46.7㎢에 달해 이들 지역이 계획대로 매립된다면 수년 안에 전체 개펄의 69%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습지보전연대회의도 지난해 4월부터 올 4월까지 조류를 중심으로 한국의 습지생태계를 조사한 결과 국제적으로 중요한 62개의 습지( 개펄 32개, 내륙 및 해안습지 30개) 중 20개 정도가 지금 당 장 부분 또는 전면적인 매립에 의해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개펄에는 생산성과 생물다양성이 높아 어류 2백 30종,게 류 1백 93종,새우류 74종,조개류 58종 …(투비컨티뉴드 )
순서
인간과생활environment
컴퓨터와 인간, 개펄과 인간 등 인간과 생활환경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