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사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9:27
본문
Download : 4대 사화.hwp
사약회의에 참석했던 신하로서 이미 죽은 한명회, 정창손 등은 무덤을 파고 그 시신을 베었으며, 생존했던 윤필상, 한치형, 이극균, 성준 등과 사림파의 잔존자들은 모두 극형을 당하였다.레포트/기타
순서





설명
4대사화
,기타,레포트
◉ 조선....
1.사화란?
2.4대사화
Ⅰ. 무오사화(연산군,1498)
Ⅱ. 갑자사화(연산군,1504)
Ⅲ.기묘사화(중종 ,1519)
Ⅳ. 을사사화 (명종,1545)
3.結論
Ⅱ. 갑자사화(연산군,1504)
: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의 사약, 원삼자락의 피.
☞ 성종 주변 후궁 독살 미수 사건(숨겨둔 비상이 발각됨)
☞ 성종 얼굴에 손톱자국을 내는 사건
연산군10년(1504) 인수대비(성종어머니)가 죽자 연산의 외조모인 신씨가 나인을 통해 그 피묻은 헝겊을 왕에게 전달, 연산은 애통해 하면서, 즉시 당시의 사기책을 가져오게 하여 사약 공론에 참여했거나, 또는 이를 힘써 간하지 못한 조신들은 물론, 앞서 무오사화에서 죽음을 면한 선비들까지도 협조자로 몰아 죽였다.
연산의 등극 이후 방종하고 사치스런 생활로 말미암아 재정이 극도로 궁핍해져, 연산이 공신들의 사전과 노비까지 몰수하려 하자, 이에 반대하는 조신…(skip)
4대 사화
Download : 4대 사화.hwp( 95 )
4대사화 , 4대 사화기타레포트 ,
다. 이를 `갑자사화`라고 하는데, 물론 이 사화의 직접적인 Cause 은 연산군의 생모 윤씨의 죽음에서 발단한 것이지만, 그것은 한 계기요, 도화선에 불과할 뿐, 좀더 근본적이고 내면적인 Cause 을 따지자면,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