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술예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8 07:32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의 술예절.hwp
따라서 체력이 나약한 미성년과 지각이 흐린 정신박약자에게 술을 주는 것은 아주 부도덕한 행위로 규정하여 사회적 규탄을 받아야 했다. 적당히 먹으면 기분을 돋구어 힘을 내게 하지만 지나치게 먹으면 이성을 마비시켜 자제력을 잃게 한다. 이러한 음주 전통이 곧 술을 대단히 고귀한 음식으로 승격시킨 것이다.
우리 조상들의 음주 예절은 두 가지가 있따 첫째가 향음주례(鄕飮酒禮)요, 다음이 군음(群飮)이다. 옛사람은 일찌기 하늘, 땅, 조상의 신령에게 제사할 때에는 술을 바쳤지만 도깨비나 마귀에게는 술을 준 일이 없으며 20세가 되어 관례(冠禮)를 한 성인에게는 술을 권하였지만 미성년자에게는 절대로 술을 먹지 못하게 하였던 것이다.
이에 반해 군음은 오직 떼지어 모여서 부지런히 마시고 노래하고 즐기기 위한 술마심이다. 향음주례는 세종대왕이 주(周)나라 예법을 바탕으로 그 절도를 가다듬어 각 향교나 서원에서 학생들에게 교과 과목으로 가르치게 했던 6예(관, 혼, 상, 제, 상견,향음주) 가운데 하나로, 어른에게 음식을 공양하는 예의절차를 밝히면서 술을 마시는 것이다.
따라서 술을 마실 때는 반드시 상대의 주량에 한계가 있음을 먼저 명심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의 술예절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이것은 자제력이 있는 사람이나 체력이 강건한 사람만이 술을 먹을 자격이 있는 것임을 뜻한다. 따라서 군음에는 일정한 형식도 절차도 없이 자유롭게 거리낌없이 즐기는 것이니 애시당초 그 예절을 논할 것이 없는 것이다. 경주의 포석정이나 부여의 낙화암 같은 곳이 군음의 유적지라고 할 것이다.
술은 마시는 사람에게 두 가지 작용을 하게 된다된다.
남으로부터 술을 대접받음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성숙한 인격자임을 뜻하게 되어 마침내 한 몸의 영광이 되었던 것이다.
설명
,생활전문,레포트
레포트/생활전문
우리나라의술예절
우리나라는 술의 歷史(역사)가 이와 같이 장구한 까닭에 술에 대한 인식이나 술을 먹는 자세가 잘 가다듬어졌던 것이다.
예절이란 본래 숭고한 정신과 깨끗한 물질이 한데 어우러진 것이다.우리나라의술예절 , 우리나라의 술예절생활전문레포트 ,
순서
Download : 우리나라의 술예절.hwp( 93 )
다. 옛사람이…(skip)
우리나라의 술예절




우리나라의 술예절에 대하여 說明(설명)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