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의 진실과 문제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23:47
본문
Download : 4대강 사업의 진실과 문제점.hwp
특히 동강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영월군의 경우, 전국 평균(average) 정수 비용 1톤당 6000원에 비해 3배에 이르는 18000원이 소요되고 있어 열악한 지방 재정에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이곳은 전 국민의 반대로 政府가 추진하던 동강댐이 취소된 곳입니다.
도암댐의 썩은 물 현장
또 도암댐의 경우 태풍 루사 때 방류량이 평소의 30배가 넘어 댐 하류에 2550억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3125억원의 복구비가 투입되었습니다. 99년 댐이 취소되었을 때, 댐 추진론자들은 수도권의 심각한 물 부족이 일어날 것이라 경고했습니다. 政府의 물 부족 주장은 이렇게 과장되고 왜곡되어 있음이 현실입니다. 그러나 2001년 심각한 가뭄이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에 그 누구도 물 부족을 겪지 않았고, 오히려 서울시에서는 물이 넉넉하니 여유 있게 물을 쓰라고 권장하기까지 했습니다. 그러나 政府의 주장 그 어느 것도 타당성을 찾아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政府는 정작 수질 improvement(개선)…(생략(省略))
4대강 사업의 진실과 문제점 , 4대강 사업의 진실과 문제점기타레포트 , 대강 사업 진실과 문제점
4대강 사업의 진실과 문제점
대강,사업,진실과,문제점,기타,레포트
다.
지금 동강 어라연의 물은 상류 도암댐의 썩은 물 방류로 인해 심각하게 오염돼 있는데, 도암댐으로 인한 동강의 오염으로 정선과 영월의 청정 이미지가 손상되어 관광객의 수가 절반으로 줄어들고, 어류(31종에서 26종)와 조류(72종에서 47종)의 종 자체가 줄어드는 등 생태계 파괴도 심각한 실정입니다.
설명
레포트/기타
Download : 4대강 사업의 진실과 문제점.hwp( 99 )
4대강 사업의 진실과 문제점






순서
4대강 사업의 진실과 問題點
政府는 물 부족, 홍수 예방, 일자리 창출, 수질 improvement(개선) 등의 각종 구호를 내세우며 22조원의 혈세를 투입하는 4대강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암댐은 오히려 홍수를 조장한 경우입니다. 영월의 동강은 서강과 만나 남한강이 되어 서울로 흘러가 수도권 주민의 식수가 됩니다.
두 달 전 강원도 영월의 동강에 다녀왔습니다.
무엇보다 도암댐의 문제는 썩은 물의 피해입니다.
1. 동강에서 4대강 사업의 실체를 발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