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사회문제] 한반도 대운하가 미치는 influence(영향)과 추진 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08:12
본문
Download : 한반도대운하.hwp
갑문의 최대 높이는 24.7m며 최고 2800t의 배가 지나갈 수 있게 설계됐다. 서유럽의 젖줄인 라인강과 동유럽을 관통하는 도나우강을 물길로 직접 연결하기 때문일것이다 한반도 대운하의 모델이 되고 있는 RMD운하는, 유럽의 2 대강인 라인강과 다뉴브강을 연결하여 북해로부터 흑해까지 장장 약3,500km의 한 줄기 강을 형성하여, 내륙에 갇힌 흑해의 북해통로를 열었고 10여개 주변국가들을 연결한다. RMD 운하는 LMD 운하 의 改善(개선) 을 위해 100여 년 전부터 논의됐다. RMD 운하는 마인강 상류의 밤베르크에서 출발해 뉘른베르크를 거쳐 도나우강 상류의 켈하임으로 이어진다. 라인강 하구의 로테르담에서 도나우강 하류의 루마니아까지 길이는 총 3500여 ㎞에 달한다. 운하를 항해하는 시간은 theory 적으로 약 24시간 정도나 대체로 30시간이 걸린다. 밤베르크의 해발은 230.85m고 켈하임 해발은 338.20m. 운하의 최고 해발은 406m며 건설비용으로 47억 마르크(약 23억 유로ㆍ3조원)가 들었다.
한반도 대운하가 미치는 influence(영향)과 추진 동향에 대한 A+ 보고서
www.kwoonha.com
운하의 지리학 - 이민부, 한국지리학회 발표논문, 2007





www.kogc.or.kr
1.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
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
starisborn.tistory.com
설명
이명박 운하와 文化(culture) 대 파괴 - 홍성태, 상지대 文化(culture) 컨텐츠학과 교수, 2008
3. 한반도 대운하의 긍정적 측면
6. 최종 結論
4. 한반도 대운하의 부정적 측면
CO2배출량은 선박이 철도의 2.5배 더 배출한다. 공사의 첫 삽이 떠진 시기는 1960년. 1972년에 뉘른베르크 구간까지 만들어졌으나, 그 후 environment(환경) 단체 반대 등에 휘말려 논란을 거듭하다가 1992년 9월 25일 무려 32년 만에 완공됐다. 공사가 중단된 시기를 고려하면 순수 공사기간으로만 20년이 걸렸다.
운하 발굴에 고작 3개월? 대놓고 도굴하는 것 - 송주민, 오마이뉴스, 2008
[사회문제] 한반도 대운하가 미치는 influence(영향)과 추진 동향
5. 한반도 대운하의 추진 동향
h21.hani.co.kr
순서
www.woonha.org
www.gobada.co.kr
[참고data(資料)]
한반도대운하는 해서는 안 될 사업 - 김정욱, 2008
경부운하, 경제적 타당성 없다 - 홍종호, 2008
한반도 대운하가 미치는 영향과 추진 동향에 대한 A+ 레포트 [참고자료] www.gobada.co.kr www.kogc.or.kr www.woonha.org www.kwoonha.com starisborn.tistory.com anticanal.tistory.com www.nocanal.org www.newsis.com h21.hani.co.kr blog.empas.com/jssance 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 경부운하, 경제적 타당성 없다 - 홍종호, 2008 한반도대운하는 해서는 안 될 사업 - 김정욱, 2008 이명박 운하와 문화 대 파괴 - 홍성태, 상지대 문화컨텐츠학과 교수, 2008 대운하, 2가지 오해와 5가지 문제점 - 주동식, 오마이뉴스, 2008 운하 발굴에 고작 3개월? 대놓고 도굴하는 것 - 송주민, 오마이뉴스, 2008 왜 한반도 대운하인가? - 추부길, 말과 창조사, 2007 운하의 지리학 - 이민부, 한국지리학회 발표논문, 2007 한반도대운하는 부강한 나라를 만드는 물길이다 - 한반도대운하연구회, 경덕출판사, 2007 재앙의 물길, 한반도 대운하 - 환경재단 도요새 CO2배출량은 선박이 철도의 2.5배 더 배출한다. 총연장 171㎞로 14개국의 유럽 국가가 이 운하를 통해 연결됐다. - 박광작 교수, 성균관대 경제학과
2. 타 국가의 운하 사례
Download : 한반도대운하.hwp( 48 )
blog.empas.com/jssance
www.newsis.com
anticanal.tistory.com
한국경제, 국제물류, 물류관리
독일 바이에른주에 위치한 RMD(라인-마인-도나우) 운하는 `유럽 운하`로도 불린다. RMD 운하 구간에는 총 16개의 갑문이 있으며 폭은 55m, 수심은 약 4m다. 1892년에 바이에른 수로교통촉진조합이 발족됐다. - 박광작 교수, 성균관대 경제학과
왜 한반도 대운하인가? - 추부길, 말과 창조사, 2007
대운하, 2가지 오해와 5가지 problem(문제점) - 주동식, 오마이뉴스, 2008
재앙의 물길, 한반도 대운하 - 環境재단 도요새
한반도대운하는 부강한 나라를 만드는 물길이다 - 한반도대운하연구회, 경덕출판사, 2007
www.nocanal.org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