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관계론] 역기능의 가족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3:57
본문
Download : [가족관계론] 역기능의 가족관계.hwp
그러나 점차 부 모는 아이의 모든 욕구를 부모가 완벽하게 충족시킬 수 없게 됨을 깨닫게 된다. 오히려 시간이 지나면 부모 자신이 힘들어지고 오히려 부모는 자신이 아이를 제대로 돌볼 수 없 는 상태에 빠지게 된다. 다른 하나의 방향은 부모가 아이의 욕구를 잘못 판단하는 경우로서 아이의 욕구를 충족하기 보다는 부모가 원하는 요구를 아이를 통해서 충족하려고 한다.
1) ‘충분한 부모 노릇’과 ‘진짜 자신’
부모의 돌봄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에 따라서 아이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형성된 삼각관계는 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역기능적 측면들을 아이들로 하여금 전달받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나는 부모가 아이를 완벽하게 돌보려고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부모가 아이를 돌보지 않은데서 발생한다.
1. 잘못된 부모노릇
1. 잘못된 부모노릇 1) 완벽한 부모노릇 2) 아이의 욕구를 충족하는 일은 거부하거나 반응하지 않는 경우 2. 가짜 자신의 형성 1) ‘충분한 부모 노릇’과 ‘진짜 자신’ 2) ‘ 잘못된 부모노릇’과 ‘가짜 자신
설명
![[가족관계론] 역기능의 가족관계-4841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A%B0%80%EC%A1%B1%EA%B4%80%EA%B3%84%EB%A1%A0%5D%20%EC%97%AD%EA%B8%B0%EB%8A%A5%EC%9D%98%20%EA%B0%80%EC%A1%B1%EA%B4%80%EA%B3%84-4841_01.jpg)
![[가족관계론] 역기능의 가족관계-4841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A%B0%80%EC%A1%B1%EA%B4%80%EA%B3%84%EB%A1%A0%5D%20%EC%97%AD%EA%B8%B0%EB%8A%A5%EC%9D%98%20%EA%B0%80%EC%A1%B1%EA%B4%80%EA%B3%84-4841_02_.jpg)
![[가족관계론] 역기능의 가족관계-4841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A%B0%80%EC%A1%B1%EA%B4%80%EA%B3%84%EB%A1%A0%5D%20%EC%97%AD%EA%B8%B0%EB%8A%A5%EC%9D%98%20%EA%B0%80%EC%A1%B1%EA%B4%80%EA%B3%84-4841_03_.jpg)
![[가족관계론] 역기능의 가족관계-4841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A%B0%80%EC%A1%B1%EA%B4%80%EA%B3%84%EB%A1%A0%5D%20%EC%97%AD%EA%B8%B0%EB%8A%A5%EC%9D%98%20%EA%B0%80%EC%A1%B1%EA%B4%80%EA%B3%84-4841_04_.jpg)

가족관계론,역기능의 가족관계
순서
2) 아이의 욕구를 충족하는 일은 거부하거나 반응하지 않는 경우
[가족관계론] 역기능의 가족관계
1) 완벽한 부모노릇
2) 아이의 욕구를 충족하는 일은 거부하거나 reaction 하지 않는 경우
다. 특히 결혼을 해서 아이를 낳을 경우에는 아이와 더불어 삼각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역기능의 관계는 다음세대에게 전달된다. 부모가 아이를 돌보는데 있어 잘못된 방식을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2. 가짜 자신의 형성
2) ‘ 잘못된 부모노릇’과 ‘가짜 자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가족관계론] 역기능의 가족관계.hwp( 61 )
1) 완벽한 부모노릇
1. 잘못된 부모노릇
완벽한 부모는 아이로 하여금 부모가 좌절이나 결핍이 없도록 행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