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좌도 필봉 마을 풍물굿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5 12:31
본문
Download : 호남좌도 필봉 마을 풍물굿.hwp
(3) 영 기
1) 영 기
대나무로 된 깃대(약 2m 정도) 끝에 놋쇠로 만든 삼지창으로 된 깃봉을 달며 깃봉 밑에흰 창호지로 만든 지전을 단다.
아래 : 흰 바지를 입는다. 주로 「농자천하지대본」이라고 쓴다
2) 농기수
용기수의 옷차림과 같다.
2) 용기수
머리 : 전립이나 패랭이를 쓴다고 하는데 필봉굿에서는 고깔을 많이 쓴다.
30여척 된 긴 나무 끝에 꿩 꼬리나 생목기로 깃봉을 만들어 달고 깃봉 끝에 너비 5...
Download : 호남좌도 필봉 마을 풍물굿.hwp( 31 )
호남좌도 필봉 마을 풍물굿
순서
굿패의 짜임과 옷차림
1) 용 기
(1) 용 기
레포트/기타
굿패의 짜임과 옷차림(1) 용 기1) 용 기30여척 된 긴 나무 끝에 꿩 꼬리나 생목기로 깃봉을 만들어 달고 깃봉 끝에 너비 5... , 호남좌도 필봉 마을 풍물굿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설명






굿패의 짜임과 옷차림
(1) 용 기
1) 용 기
30여척 된 긴 나무 끝에 꿩 꼬리나 생목기로 깃봉을 만들어 달고 깃봉 끝에 너비 5척, 길이 15척 가량 된 큰 기폭을 단다. 깃폭은 정방형 또는 삼각형 깃폭을 달고 깃폭의 색깔은 오색을 많이 사용하며 깃폭속에는 영(令)자라고 쓰는데 깃폭의 색깔과 글자의 색깔은 틀려야 한다.
위 : 흰 저고리에 남색 조끼를 입는다. 또한 깃폭의 둘레에는 깃설을 달며 영기는 농기를 호위하고 굿패의 신호기 또는 진법놀이 등에 쓰여 진다.
(2) 농 기
1) 농 기
1800년대 후반에서 1900년대 초반사이에 쓰였던 흔적이 보인다. 기폭의 가에는 쓰러지지 않게 버티기 위하여 지네발을 달고 깃폭은 흰색의 천에 오색으로 장수를 비는 큰 용을 그리고, 여의주, 거북, 잉어 등을 곁들여 그린다.
2) 영기수
용기수의 옷차림과 …(생략(省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