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의 성령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14:30
본문
Download : 사도행전의 성령론.hwp
E. Schweizer, The Holy Spirit (Philadelphia: Fortress, 1980), p. 78: `The community`s experience of the Spirit was such that he continued to lead it and direct it toward those who were in special need of …(省略)
페린의 주장은 사실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킴으로서 누가의 본연의 사상을 축소시킨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그러나 적어도 이렇게 표현될 정도로... , 사도행전의 성령론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다. 한편, 브루스는 사도행전을 교회시대(`the time of the church`)라고 말하는 한스 콘첼만의 주장을 반박하면서, 오히려 성령의 시대(`the age of the Spirit`)라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고 주장한다(`The Holy Spirit`, pp. 170, 177).
다음의 목록은 사도행전에서 성령의 역사(歷史)가 보다 적극적으로 등장하는 경우를 정리(arrangement)해 본 것이다; ①오순절 성령 강림(2:1 이하); ② 사도들의 성령 충만(4:23-31); ③ 아나니아와 삽비라 부부의 성령 거역으로 인한 죽음(5:1-11); ④ 사마리아인들이 성령을 받음(8:14-17); ⑤ 성령이 빌립을 인도함(8:29); ⑥ 고넬료와 그 권속이 성령을 받음(10:44-48); ⑦ 바나바와 바울이 성령의 부르심을 받음(13:1-4); ⑧ 예루살렘 사도회의에서의 성령의 인도(15:28); ⑨ 성령이 사도 바울의 활동을 도우심(16:6-7); ⑩ 에베소 제자들이 성령을 받음(19:1-6); ⑪ 성령이 바울의 운명을 예고함(20:22f.; 21:11); ⑫ 성령이 교회에 감독을 세움(20:28) 등등. 이상의 자료(資料)들을 종합해 볼 때, 사실상 베드로와 바울과 같은 사도들이 전도와 선교사역의 전면(前面)에 나서 활동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들을 실질적으로 인도하고 이끈 것은 성령이었다고 우리는 분명하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사도행전의 성령론
설명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사도행전의 성령론.hwp( 80 )
페린의 주장은 사실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킴으로서 누가의 본연의 사상을 축소시킨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그러나 적어도 이렇게 표현될 정도로...
페린의 주장은 사실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킴으로서 누가의 본연의 사상을 축소시킨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그러나 적어도 이렇게 표현될 정도로 사도행전에서 성령의 역사(歷史)가 두드러진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