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 리/ 주/ 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3 13:03
본문
Download : 공 리 주 의.hwp
공/ 리/ 주/ 의/
Download : 공 리 주 의.hwp( 95 )
공리주의
1. 기본적 특징
☞ 결과주의 理論
- 행위의 옳고 그름은 결과에 의해서만 판단되며, 옳은 행위란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
☞ 유용성(공리, utility)
- 행위 자체는 아무런 본질적 가치는 없다. 단지 좋은 결과를 위한 수단으로서만 유용성이 있을 뿐이다.
☞ 공평성(impartiality)
- 어떤 사람의 이익도 다른 사람의 이익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계산되어져서는 안 된다 모든 사람의 이익은 공평하게 계산되어져야 한다.
3. 공리(유용성)의 定義(정의)
☞ 공리(유용성)은 어떤 좋은 목적 또는 좋은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용한 것. 즉, ‘본래적 좋음’에 대하여 유용한 것. 따라서 ‘본래적 좋음’의 표준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유용성에 대한 定義(정의)도 달라짐.
⇒ 공리주의 가치론
4. 공리주의 가치론
✱ 고전적 공리주의
1) 벤담의 양적 쾌락 공리주의(양적 쾌락주의 + 공리주의)
☞ 쾌락주의
- 심리학적 쾌락주의 : 인간은 그가 의식하고 있든 또는 의식하지 않고 있든 간에 쾌락이나 고통에 의해 자연적으로 동기화 됨. → 자기편애(self-preference)의 원리
- 양적 쾌락주의 : 쾌락은 오직 한 가지뿐이며 양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을 뿐, 질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없음. ⇒ 의무, 책임, 도덕적 명령은 개인적 행복에 어떠한 것이 결과 되느냐의 문제일 뿐.
- 쾌락의 계산(행복의 계산) : 벤담은 쾌락은 다만 양적인 차이로서만 평가될 수 있다고 생각, 그 측정(測定) 요소로서 ①강도(intensity), ②지속(duration), ③확실성(certainty), ④근접성(propinquity), ⑤다산…(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공/ 리/ 주/ 의/
설명
순서
공/ 리/ 주/ 의/공리주의 , 공/ 리/ 주/ 의/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다.
☞ 최대의 유용성을 산출하는 행위나 규칙에 따라서 행동해야 한다.
2. 공리주의의 도덕성의 기준
☞ 어떤 행동의 결과가 관련된 사람들을 공평하게 고려해서 최대의 유용성을 산출하거나, 적어도 다른 대안적 행동이나 규칙과 같은 공리를 산출하는 행위는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