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상 상계의 금지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5 20:06
본문
Download : 민법상 상계의 금지에 대하여.hwp
설명
1. 당사자의 의사표시에 의한 금지
2. 법률에 의한 금지
2. 법률에 의한 금지
(1) 고의의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채권
제496조 [불법행위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의 금지] 채무가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것인 때에는 그 채무자는 상계로 채권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금지되는 것은, 고의의 불법행위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것이며, 따라서 피해자가 자동채권으로 하여 상계하는 것은 상관없다.민법상상계의금지에대하여 , 민법상 상계의 금지에 대하여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민법상상계의금지에대하여
순서
민법상 상계의 금지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민법상 상계의 금지에 대하여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민법상 상계의 금지에 대하여.hwp( 23 )
민법상 상계의 금지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그리고 제496조의 입법취지는 보복적 불법행위의 유발을 방지하고 아울러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피해자에게 현실의 변제를 받게 하려는 데 있으므로, 중과실에 의한 불법행위자는 그의 손해배상채무에 대해 상계권을 행사할 수 있다(대판 94.8.12. 93다52808). 그리고 자동채권과 수동채권이 동시에 행하여진 싸움에서 서로 상해를 가한 경우와 같이 동일한 사안에서 발생한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채권인 경우에도 상계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판례의 태도이다(대판 94.2.25. 93다384446).
고의의 불법행위를 Cause 으로 한 부당이득반환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의 허용 여부(소극)
대법원 2002.1.25. 선고 2001다52506 판결 …, 부당이득의 Cause 이 고의의 불법행위에 기인함으로써 불법행위로 인한 …(투비컨티뉴드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