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경학사상의 교육목적론적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20:54
본문
Download : 다산 경학사상의 교육목적론적 이해.hwp
다산 경학사상의 교육목적론적 이해
Download : 다산 경학사상의 교육목적론적 이해.hwp( 92 )
Ⅰ. 교육내용의 영역
Ⅱ. 명명덕(明明德)의 지평
Ⅲ. 수신(修身)의 의미구조
Ⅳ. 인(仁)의 체현자로서의 군자
Ⅴ. 결
Ⅱ. 명명덕(明明德)의 지평
『대학』의 3강령 중 하나인 명명덕(明明德)은, 원래 국자(國子)에게 태학에 들어가게 하여 이들로 하여금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태평하게 하는 길을 습숙하게 하는 중에 추구토록 한 ‘태학의 도는 밝은 덕을 밝힘에 있고 친민하는데 있다 ’ 는 교육목적의 한 지주를 형성하는 것이었다.
다산에게 있어 ‘명덕’은 효제에 근본한 구족의 친함, 즉 사회관계의 화목과 예(禮)가 실현된 제도 내에서 백성의 순종으로 이해되고 있다 또한 명덕이 일상적 가족관계의 덕목들로 이해되고 이들 덕목을 돈돈히 함을 명명덕…(skip)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다산경학사상의교육목적론적이해 , 다산 경학사상의 교육목적론적 이해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산경학사상의교육목적론적이해
다. 그러나 『대학』의 중심사상은 어디까지나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태평하게 하는 데 있으므로 기타의 강령, 조목은 사실상 치국평천하의 근본을 밝힌 것에 불과하다. 뿐만 아니라 성의(誠意)니 정심(正心)이나 하는 치심의 요체도 효제자를 실천하는 ‘미묘한 이치요, 방략일 따름이며 교육하는 タイトル은 효제자로서 세 가지 뿐이라는 것이 다산의 주장이다.
『대학』의 도에서 명명덕이란 효제자(孝悌慈)에 그 근본이 있으며, 6덕 6행 6예의 향삼물(鄕三物)에 의한 교육도 그 근본은 효제자일 뿐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