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구곡(維鳩曲)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8 17:24
본문
Download : 유구곡(維鳩曲).hwp
그 일등 간관을 `봉황새의 울음소리`라고 말한다.
예종은 <벌곡조(伐谷鳥)>를 지어서 궁중에 있는 교방 기생(敎坊妓生)들에게 부르게 하였는데, 예종이 지은 그 <벌곡조 노래>가 시용향악보에 실려 있는 <비두로기 노래>일 것이라는 설도 있따
이 노래가 지니고 있는 뜻은 `비둘기 새도 울기는 하지마는 뻐꾹새 울음소리야말로 나에게는 참으로 좋더라`라는 것이다. 예종은 <벌곡조(伐谷鳥)>를 지어서 궁중에 있는 교방 기생(敎坊妓生)들에게 부르게 하였는... , 유구곡(維鳩曲)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 배경 설화
Download : 유구곡(維鳩曲).hwp( 75 )
설명
순서
예종은 <벌곡조(伐谷鳥)>를 지어서 궁중에 있는 교방 기생(敎坊妓生)들에게 부르게 하였는...
레포트/기타
유구곡(維鳩曲)
● 배경 설화
일명 <비두로기>라고도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울음이란 새의 울음에 비유된 것이다. 예종이 자신의 허물과 정치의 잘잘못을 들을 수 있는 길을 넓히고자 하였으나, 간관들이 오히려 임금을 두려워하여 임금의 잘못을 이야기해 주지 않자 그 간관들을 넌지시 타일러 주…(skip)
일명 <비두로기>라고도 한다.
비둘기 새는 가냘픈 소리로 울 뿐만 아니라, 잘 울지 못하는 새이기 때문에 비둘기의 울음소리는 간관으로서 자격이 없다. 간관의 직분을 게을리 하지 않기 위하여 임금을 보고 곧바로 울어 젖히는 이를 뻐꾹새 간관이라고 말한다.
다. 간관(諫官)은 임금의 잘못을 말하는 벼슬아치였데, 임금이 화를 내지 않고 곧바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면서 고치게 만드는 이를 일등 간관이라고 불렀다. 그런가 하면 맑고 부드러운 소리를 내면서 오래도록 잘 우는 새가 뻐꾹새이다. 남들을 감동시키는 일을 두고 `세상을 울린다(鳴於世).`라고 표현하고, 그런 사람을 보고 울기를 잘하는 사람(善鳴者-선명자)이라고 한다.
_hwp_01.gif)
_hwp_02.gif)
● 배경 설화 일명 <비두로기>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