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학개론] 영유아 교육의 발전에 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2:48
본문
Download : [보육학개론] 영유아 교육의 발전에.hwp
코메니우스의 유아교육사상의 요지-17세기의 엄격하고 추상적인 주입식교육방법을 비난하고, 어린이의 자연성개발에 적합한 인간적이고 실물중심의 교육방법을 강조하였다. 유아기의 신체발달과 학습과정에서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 하였다. (4) 18세기 영·유아 보육·교육의 실제
2. 19세기
[보육학개론] 영유아 교육의 발전에 관해서
2) 질적으로 우수한 프로그램(program]) 의 특성(特性)
1. 17 ~18세기
(1) 진보주의 교육사상과 아동연구의 활성화
(2) 몬테소리의 어린이 집
(2) 로크의 백지설과 새로운 아동관
5. 영·유아 보육·교육 프로그램(program]) 의 상황과 展望(전망)
(1) 페스탈로치의 교육
3. 20세기
(1) 코메니우스의 아동관과 근대교육
(2) 프뢰벨의 킨더가든
(4) 구성주의 theory 과 영·유아 보육·교육
1. 17 ~18세기
2) 해방 이후
(3) 빈곤아동을 위한 보상교육 : 헤드스타트
(2) 로크의 백지설과 새로운 아동관
보육학개론,영유아 교육의 발전
(3) 루소의 자연주의 사상과 아동존중
1. 17 ~18세기 (1) 코메니우스의 아동관과 근대교육 (2) 로크의 백지설과 새로운 아동관 (3) 루소의 자연주의 사상과 아동존중 (4) 18세기 영·유아 보육·교육의 실제 2. 19세기 (1) 페스탈로치의 교육 (2) 프뢰벨의 킨더가든 (3) 피바디의 유치원 3. 20세기 (1) 진보주의 교육사상과 아동연구의 활성화 (2) 몬테소리의 어린이 집 (3) 빈곤아동을 위한 보상교육 : 헤드스타트 (4) 구성주의 이론과 영·유아 보육·교육 4. 우리나라의 영·유아보육·교육 프로그램 1) 해방 이전 2) 해방 이후 5. 영·유아 보육·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전망 1) 영·유아 보육·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2) 질적으로 우수한 프로그램의 특성
(1) 코메니우스의 아동관과 근대교육
4. 우리나라의 영·유아보육·교육 프로그램(program])
영국의 경험론자인 로크(John Locke, 1632-1704)는 그의 「교육론(Some Thoughts Concerning Education), 1683」과 「인간본성론(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에서 인간의 본성은 출생 시에 이미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관념도 가지고 있지 않은 白紙狀態(tabula rasa)와 같으며, 環境(환경)이 유기체에 흔적을 만들어 인간의 본성이 형성된다고 주장하였다. 아동중심의 교육, 감각인상교육을 주장한 점에서 교육에 있어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일으킨 인물로, 그 사상이 18c 루소의 자연주의교육의 시초가 되었으며, 19c의 페스탈로치, 프뢰벨, 엘렌케이, 진보주의사상의 모체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아
Download : [보육학개론] 영유아 교육의 발전에.hwp( 91 )
다.
설명
1) 해방 이전
(3) 피바디의 유치원
순서
![[보육학개론] 영유아 교육의 발전에-215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B3%B4%EC%9C%A1%ED%95%99%EA%B0%9C%EB%A1%A0%5D%20%EC%98%81%EC%9C%A0%EC%95%84%20%EA%B5%90%EC%9C%A1%EC%9D%98%20%EB%B0%9C%EC%A0%84%EC%97%90-2152_01.jpg)
![[보육학개론] 영유아 교육의 발전에-215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B3%B4%EC%9C%A1%ED%95%99%EA%B0%9C%EB%A1%A0%5D%20%EC%98%81%EC%9C%A0%EC%95%84%20%EA%B5%90%EC%9C%A1%EC%9D%98%20%EB%B0%9C%EC%A0%84%EC%97%90-2152_02_.jpg)
![[보육학개론] 영유아 교육의 발전에-2152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B3%B4%EC%9C%A1%ED%95%99%EA%B0%9C%EB%A1%A0%5D%20%EC%98%81%EC%9C%A0%EC%95%84%20%EA%B5%90%EC%9C%A1%EC%9D%98%20%EB%B0%9C%EC%A0%84%EC%97%90-2152_03_.jpg)
![[보육학개론] 영유아 교육의 발전에-2152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B3%B4%EC%9C%A1%ED%95%99%EA%B0%9C%EB%A1%A0%5D%20%EC%98%81%EC%9C%A0%EC%95%84%20%EA%B5%90%EC%9C%A1%EC%9D%98%20%EB%B0%9C%EC%A0%84%EC%97%90-2152_04_.jpg)
![[보육학개론] 영유아 교육의 발전에-2152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B3%B4%EC%9C%A1%ED%95%99%EA%B0%9C%EB%A1%A0%5D%20%EC%98%81%EC%9C%A0%EC%95%84%20%EA%B5%90%EC%9C%A1%EC%9D%98%20%EB%B0%9C%EC%A0%84%EC%97%90-2152_05_.jpg)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영·유아 보육·교육 프로그램(program]) 의 상황
17-18세기에 들어오면서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의 effect(영향) 으로 아동관과 교육관은 근본적인 變化를 맞이하여 근대적인 아동관과 아동존중 교육사상이 구축되기 처음 하였다.
코메니우스(Johann Amos Comenius, 1592-1670)는 첵코슬로바키아의 성직자이며, 17세기 최대의 교육자, 근대교육의 아버지, 유아교육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최초의 유아교육사상가이며, 세계최초의 교육방법서인「대교수학(大敎授學) Didactica magna, 1632)」과「세계도회(Orbis Pictus)」를 완성하였다. 로크의 사상은 아동의 자유와 자연을 존중하고 체벌이나 질책보다는 칭찬을 권하고 형식적인 교육을 반대하는 등 낡은 아동관에서 새로운 아동관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고후순·김동일·조옥희, 1997). 그의 자유주의적 이념은 후기에 프랑스의 루소의 자연주의 사상에 큰 effect(영향) 을 미쳤다.